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콩류 중 잔류농약의 신속 분석법에 관한 연구

전문가 제언
  

식품 중의 잔류 농약 분석은 식품위생법의 개정에 따른 포지티브 리스트 제도가 도입되어, 농약 등의 규격 기준에의 적합성에 대한 판단을 할 시험 내용으로「식품 중 잔류하는 농약 등에 관한 시험법의 타당성 평가 지침 프로그램」이 통지되었다. 일본은 현재 규제 대상 농약에 대해서는 800가지 이상이 해당하고 그 농약에 대한 지침에 따라 평가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정확하고 신속한 분석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지질을 많이 포함한 식품의 잔류 농약 분석에서는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GPC), 저온 추출법, 고상추출 등에 의한 정제가 필요하다. 그러나 GPC에서는 다량의 유기 용매가 필요하며, 고분자량의 농약을 저장할 수없는 등의 문제가 있으며, 냉동 저장 등에 의한 저온 추출법에서는 지질을 충분히 제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개선된 LC-MS/MS를 이용한 콩류 중 잔류 농약의 신속 분석법은, 추출을 아세토니트릴 30 mL로 2회 반복하고, 염석 용 염화나트륨의 양을 2g으로 설정하고, 정제는 원래 칼럼에 Z-Sep/C18(20mg/50mg)을 추가하여 매트릭스 효과를 개선한 방법이다.

 

잔류농약 분석법은 그 분석법의 한계 및 효율에 대한 철저한 검증을 요구받고, 아울러 분석법은 추출, 정제, 기기분석 및 재확인 등 복잡한 과정을 거쳐 수행되기 때문에 시약 및 사용기구, 실험실 환경, 분석자의 자질 및 숙련도에 따라 분석 결과가 심각한 영향을 받을 수 있어, 식약처는 공공목적의 분석결과를 위해서 분석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자격에 대한 평가 결과를 검체 분석에 앞서 선결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식약처는 외국의 기준을 준용하여 잔류허용기준이 정해진 농약 202종에 대해 매년 40종씩 5년(‘19년에만 42종)에 걸쳐 농약 사용방법, 농작물 재배 방식, 식습관 등을 반영하여 2015년부터 잔류허용기준을 재평가해 오고 있다.

 

 

저자
Keiko Iwakoshi, Kenji Otsuka, Yasuhiro Tamura, Sanae Tomizawa,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6
권(호)
57(5)
잡지명
食品衛生學雜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150~154
분석자
정*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