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복작물 멀칭의 잡초발아 및 생장억제 효과
- 전문가 제언
-
○ 피복작물은 토양침식과 질산용출을 감소시키고 토양유물을 증가시키며, 합성제초제 사용을 줄이면서 잡초발생을 억제한다. 겨울 이후에 피복작물 잔류물은 토양표면에 멀칭효과를 보여 잡초발생을 막는 역할을 한다. 피복작물을 혼작하면 여러 저해작용에 의하여 더 높은 잡초방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 메밀과 호밀은 물리적, 타감작용 특성 때문에 잡초억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Vicia spp., Trifolium spp., 해바라기, Cannabis sativa와 같은 다른 피복작물도 높은 잡초억제효과가 있다.
○ 농업에서 피복작물 멀칭의 실행은 중요하며, 특히 혼합된 피복작물의 이용은 농민이 유럽규정(EU No.1307/2013) 준수를 요청받는 유럽에서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규정에 의한 생물다양성 증대는 경제적으로 장려하고 있으므로 잡초방제를 위하여 피복작물 혼작 이용은 농민에게 경제적 이익을 제공할 수 있다.
○ 우리나라에서 피복작물은 호밀, 자운영, 헤어리벳치 등에 관하여 잡초방제 효과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제초제를 사용할 수 없는 유기농 소득작물을 대상으로 피복작물에 관한 잡초방제 연구를 실시하여 유기농 농가에서 잡초방제를 위하여 피복작물 혼작방법이 활용될 수 있기 바란다.
- 저자
- D. J. Strurm, C. Kunz and R. Gerhards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6
- 권(호)
- 90()
- 잡지명
- Crop Protectio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25~131
- 분석자
- 변*영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