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지하철 터널 열원 방식의 지열 히트펌프

전문가 제언

1855년 세계 최초로 ‘Peter Ritter von Rittinger(오스트리아)가 설계하고 설치한 히프펌프는 에너지 효율이 높은 냉난방시스템이다. 열원(heat source) 종류에서는 외기에 성능이 크게 좌우되는 공기열원 대신 연중온도가 거의 일정한 지열 이용의 지열 히트펌프(GSHP: Ground Source Heat Pump)의 비율이 늘고 있다. 이와 함께 확대되는 지하철 터널 주위 지열을 열원으로 이용하려는 연구가 이뤄지기 시작했다.

 

영국 London 지역에서의 GSHP지하철 지열의 이용 잠재성에 관한 예비조사를 통해 터널이 BHE(Borehole Heat Exchanger)에 근접될수록 BHE 벽의 온도변화가 확대되고, 이격 간격이 3m일 때 BHE 벽의 온도가 34로 최댓값을 보인 것으로 조사됐다. 지열의 효율적 이용을 위해 다양한 파라미터 조사 등 후속 연구의 필요성이 제시됐다.

 

국내의 히트펌프 관련 연구는 1990년대 초반부터 활발하게 이뤄졌으며, 실용화에서도 공공건물의 신재생에너지 설치 의무화제도실행으로 공공건물의 신재생에너지원 중 60%GSHP로 설치되는 등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지하철 열원 활용에서는 지열이 아닌 환기용 배기 열을 히트펌프 공기열원으로 이용하는 연구(한국가스학회지. v.4 no.4 2000)뿐으로 지하철 지열 이용 연구는 아직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유럽은 2020년까지 에너지공급 중 재생에너지 비율을 20%로 높이고 온실가스 배출량을 20% 감축하며, 2050년까지 배출량을 6080% 감축하는 목표를 수립했다. 또한 유럽과 일본은 히트펌프에 공기, , 지열을 열원으로 이용하면 1차 에너지에 해당되는 절약부분을 신재생에너 공급으로 인정하는 등 히트펌프를 신재생에너지원으로 분류함으로써 보급을 확대시키고 있다.

 

특히 국내는 혹한기가 긴 기후조건을 지니고 있어 공기열원 히트펌프보다는 GSHP 보급이 현실적이다. 온실가스 배출목표 달성에 기여하고 에너지 수입액 감축을 위해 지하철 지열 이용 연구 등 GSHP 기술 개발 및 보급 확대가 필요하다.

 

저자
Akos Revesz,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16
권(호)
93()
잡지명
Applied Thermal Engineering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147~154
분석자
이*원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