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한 순환형 바이오 경제를 지향하는 폐기물 바이오 리파이너리
- 전문가 제언
-
○ 현재 인간이 사용하는 거의 대부분의 연료, 화학제품, 화공약품 등은 석유로부터 나오고 있으며 정유공장(refinery)에서 시작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인간에게 필수적인 제품을 바이오매스로부터 만들자는 생각이 바이오리파이너리(biorefinery)개념을 만들었다. 바이오리파이너리는 매우 에너지 효율적이며 또한 폐기물을 배출하지 않으므로 환경 친화적인 바이오경제를 구축하는데 바람직하다.
○ 조류(Algae)는 대단히 빨리 자라고 농업적으로 경작이 어려운 토양이나 짠물로도 키울 수가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조류는 재생 가능한 바이오연료를 생산하는 원료로서 매력적이다. 미국의 해군과 항공사들은 선박과 항공기의 연료로 조류 바이오연료를 사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 그러나 조류 바이오연료는 아직까지 매우 비싼 실정이다. 미국 해군은 바이오연료 45만 갤런(170만 리터)을 1,200만 달러에 구입하였는데 이는 석유계 연료의 갤런당 27달러와 비교하여 약 10배에 해당한다. 이러한 비용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이 자료에서 제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조류와 폐수처리를 함께 활용할 필요성이 있다. 조류와 폐수처리를 함께 활용하여 에너지 효율적으로 바이오연료와 바이오제품을 생산하면 경제성 개선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 우리나라에서도 미세조류를 이용한 바이오리파이너리 연구가 매우 활발하다. 성균관대 연구팀이 CO2 Conversion by Biotechnology Symposium(2010년 4월)에 발표한 “석탄 화력발전소 배기가스로 미세조류 바이오매스 생산과 미세조류 바이오리파이너리 공정 개발”이 대표적이다. 또한 미세조류를 이용한 바이오디젤 생산기술 연구도 포항공과대학, 생명공학연구원 등이 많은 연구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일반적인 지질을 원료로 바이오디젤을 생산을 생산하는 연구는 에너지기술연구원에서의 연구가 활발하다.
- 저자
- S. Venkata Mohan,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6
- 권(호)
- 215()
- 잡지명
- Bioresource Tech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2~12
- 분석자
- 김*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