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곡 딱정벌레 방제를 위한 pirimiphos-methyl 제형의 살충효과
- 전문가 제언
-
○ 밀, 옥수수 및 벼 저장에서 딱정벌레목 쌀바구미 Sitophilus oryzae (L.)와 나무좀 Rhyzopertha dominica (F.) 및 밀가루갑충 Tribolium confusum Jacquelin du Val 성충방제에 미치는 pirimiphos-methyl 유제(EC)와 캡슐서스펜션(CS) 두 제형에 대한 실험실평가를 실시하였는데 처리농도는 2, 4ppm으로 처리 2, 7, 14 및 21일 후 성체치사율을 측정하였다.
○ S. oryzae 부모성체가 제거된 65일 후 자손생산 평가에서 성체생존율이 밀과 옥수수에 비하여 벼에서 월등히 높았으나 이에 반하여 T. confusum 치사율은 다른 곡물에 비하여 옥수수에서 현저히 높았다. 종 검증에서 가장 민감한 해충은 S. oryzae로 옥수수에서 처리 7일 후 100% 치사하였으며 이어서 T. confusum과 R. dominica 순이었다.
○ S. oryzae의 경우 pirimiphos-methyl 살충제에 의하여 자손생산이 현저히 억제되었는데 R. dominica는 상이한 차이를 보였다. 일반적으로 EC와 CS 제형 간에는 아주 근소한 차이로 검출되었다. 따라서 곡물상품의 형태는 두 제형의 pirimiphos-methyl 치사율에 현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결론지었으나 이 영향은 종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 본 살충제와 관련된 국내 연구동향을 작은빨간집모기 Culex tritaeniorhynchus 유충의 pirimiphos-methyl에 대한 감수성을 비롯하여 생물적 방제와 화학적 방제의 조화에 의한 새로운 병해충 방제기술 및 pirimiphos-methyl 살충제에 대한 바구미 Sitophilus oryzae 저항성 검증 등 다양한 연구가 최근에 수행되었다.
- 저자
- Christos I. Rumbos,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6
- 권(호)
- 80()
- 잡지명
- Crop Protectio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94~100
- 분석자
- 한*빈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