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시스템의 디지털화를 실현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PaaS
- 전문가 제언
-
○ 기업은 클라우드, IoT(Internet of Things), 모바일로 대표되는 디지털 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비즈니스의 변혁이 요구되고 있다. 지금까지 상상도 하지 않았던 업종과 벤처기업이 경쟁 상대가 되어 기존 사업을 계속하는 것만으로는 성장을 예측할 수 없는 시대가 되었다. 이와 같은 변화가 요구되는 시대에 성장하기 위해서는 ICT(정보통신기술) 활용을 통해 미래를 예견하고 변화에 대응력이 있는 기업 시스템이 요구되며 이에 따라 클라우드 플랫폼인 PaaS(Platform as a Service)가 크게 주목받고 있다.
○ 이 PaaS는 기업 시스템의 핵심인 비즈니스 응용프로그램의 개발·실행·운용 기반이며 비즈니스 응용프로그램의 변화 대응력을 향상할 것이다. 또한 기업의 응용프로그램은 IoT 및 소셜 미디어 등 다양한 서비스 기능과 연결하여 새로운 비즈니스를 창출할 수 있다. 이 문헌에서는 시스템 통합 기술과 오픈 기술을 융합하여 서비스 플랫폼으로 개발된 PaaS를 소개한다. 그리고 기업 비즈니스의 디지털화 실현에 기여하는데 필요한 요건과 그것을 실현하는 PaaS의 서비스 기능에 관해 설명한다.
○ PaaS가 향후 클라우드 컴퓨팅의 핵심 경쟁력으로 인식하고 세계적인 ICT 기업인 Google, Microsoft, Salesforce.com 등은 PaaS 서비스 플랫폼을 개발하여 세계시장에서 서비스 중이며 기능도 계속 추가·확충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서로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 국내는 아직 개발된 PaaS 플랫폼은 없지만 현재 정부 산하기관에서 오픈소스 기반의 PaaS로 PaaS 서비스를 시범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그리고 몇몇 기업에서 클라우드 서비스 개발을 위해 사설 PaaS를 운영하고 있다.
○ PaaS에 기반을 두고 응용프로그램이 개발되고 관리되기 때문에 특정 PaaS를 이용하는 순간 종속성이 크게 증대된다. 앞으로 개발자들이 어떤 PaaS를 많이 이용하는가에 따라 클라우드 시장에서 성패가 갈릴 것이며 결국 PaaS를 장악하는 기업이 클라우드 컴퓨팅을 장악한다고 보아도 과언이 아니다. 현재는 플랫폼 종속 문제 심화에 따라 개방형 플랫폼에 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국내도 시범사업의 경험을 살려 표준기반 개방형 PaaS의 본격적인 개발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 저자
- Matsumoto Osamu,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6
- 권(호)
- 67(5)
- 잡지명
- 雜誌FUJITSU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16~23
- 분석자
- 신*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