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서비스 관리를 활용한 멀티 클라우드 환경의 통합 관리
- 전문가 제언
-
○ 2006년 아마존 웹서비스(AWS)가 세계 최초 클라우드 서비스를 선보이래 클라우드 선진국인 미국에서는 멀티 클라우드라는 새로운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여러 클라우드 사업자의 서비스를 혼용하는 멀티 클라우드 활성화의 핵심에는 종속성이 있다. 단일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할 경우 특정 클라우드 업체에 종속되는 것은 피하기 어렵다. 반면에 두 개 이상의 클라우드를 혼용하면 종속성을 분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비스별 장점을 취사선택할 수 있다.
○ 이러한 클라우드 환경에서 공용 클라우드의 이용이 활발해져 기업에서는 멀티 클라우드를 채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멀티 클라우드를 이용하는 기업 중 일부는 속도를 중시하여 각 부문에서 공용 클라우드를 계약하여 이용하는 섀도 IT로 불리는 형태도 확산되고 있어 ICT 거버넌스가 저하하는 상황도 여기저기 보이고 있다. 또한 클라우드별로 사양이나 조작 방법 등이 다르기 때문에 운용 인력의 증대와 업무 복잡성 등의 문제가 표면화되고 있다.
○ 이러한 문제에 대해 멀티 클라우드 통합 관리 서비스인 Cloud Services Management가 개발되었다. 이 서비스는 멀티 클라우드 환경에서 전사적인 이용 상황이나 계약 비용 등을 일원 관리하는 기능이나 포털 사이트 등을 제공함으로써 ICT 거버넌스의 강화와 ICT 비용 및 운용을 최적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 문헌에서는 멀티 클라우드 이용 시의 과제와 이 서비스를 활용한 해결 방법을 소개한다.
○ 올해 1조 원 규모를 돌파할 것으로 보이는 국내 클라우드 시장에서는 여전히 외국산 클라우드 선호도가 두드러진다. 또한 멀티 클라우드 사용도 아직 미미한 수준이다. 국내도 미국 사례에서 보았듯이 클라우드 시장이 사설 클라우드에서 공용 클라우드로 전환될 것이며 이에 따라 멀티 클라우드 시장이 성장할 것으로 예상한다. 클라우드 산업 발전을 위한 정부의 적극 지원 역시 멀티 클라우드 활성화를 촉진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우리나라도 클라우드 시장에서 멀티 클라우드 시대의 도래를 대비하여 이에 관한 기술 개발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 저자
- Kure Jin,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6
- 권(호)
- 67(5)
- 잡지명
- 雜誌FUJITSU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24~30
- 분석자
- 신*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