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중대역 안테나를 갖는 웨어러블 안경
- 전문가 제언
-
○ 이 기술은 구글글라스 등과 같은 웨어러블 다중대역 안경 안테나 설계·디자인 기술이다. 사용자 목적에 일치하는 다양한 웨어러블 소비재 기기를 만들기 위하여 전술한 시스템 및 구성 요소들의 조합들을 추가, 제거 및/또는 원하는 특성을 갖는 장치 또는 시스템을 획득하기 위해 재배열 설계함으로써 고성능 웨어러블 다중대역 안테나를 제작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이는 국내 웨어러블 기기 분야에 파급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근거리통신이 가능한 스마트안경 다중대역 안테나 설계기술은 초소형화, 초절전화, 초경량화 기술발전과 함께 국내 관련업계에서도 첨단 스마트안경 안테나 기술우위를 비교·검토하여 기술선점에 주력할 필요가 있다.
○ 글로벌 웨어러블 스마트안경 시장(미국, 일본 등 VR 세계시장조사기관 참조)에서의 기술시장을 선점하기 위해서는 이 특허기술과 관련된 기업별로 소재/통신/설계/제어/무선충전 기술의 장점 및 단점, 실현시기 등을 잘 비교·파악하여 특화된 소형 다중대역 안테나 기술발전이 필요하다.
○ 향후 5G의 빠른 속도는 VR, 홀로그램, UHD 동영상 등 데이터 전송 용량이 큰 분야에 필요하다. 더 많은 처리 용량을 위해서는 국내 이동통신사들도 여기에 맞춰 기술개발을 준비하고 있다. 그러나 고대역 주파수인 미리미터(mm)파만 5G 시대의 주역은 아니다. 5G 이동통신의 속도만이 전부가 아니라, 1GHz-6GHz의 중대역, 1GHz 이하의 저대역 주파수 등 모든 대역을 지원하는 콘텐츠 산업으로 분화 발전하게 된다. 중대역 주파수는 로봇, 드론, 머신러닝, 자율 주행 등 고신뢰성, 고가용성이 중요한 미션 한계영역에 연결되고, 저대역 주파수는 IoT에서 지금보다 더 거대한 연결을 만들어 나가게 될 것이다. 국내 관련기업들도 이 통신 기술과 같이 고부가가치 시장형성을 위한 보다 특화된 다중대역 스마트안테나 개발에 주력할 필요가 있다.
- 저자
- HUAWEI TECHNOLOGIES CO., LTD.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6
- 권(호)
- WO20160112818
- 잡지명
- PC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28
- 분석자
- 이*복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