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직물섬유의 친수성 마무리를 위한 계면활성제의 사용 및 제조된 직물 제품

전문가 제언

섬유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중에는 소수성을 나타내는 물질이 많고, 이들 섬유를 섬유성형품으로 사용하는 경우 친수성을 가진 계면활성제를 부착 혹은 첨가하여 친수성을 발현시키고 있다. 특히 종이기저귀나 생리용 냅킨, 실금 패드 등으로 대표되는 위생용품에서는 착용시에 피부에 닿는 측으로부터 표면재, 흡수재, 방수재의 3층으로구성되어 있다.

 

표면재에는 오줌이나 경혈 등 액체가 잔존하지 않고 신속하게 흡수재로 통과되는 투수성이 요구되며, 착용자가 위생용품을 교환하는 회수를 저감시키기 위해 그 투수성을 가능한 한 유지되게끔 반복 투수성(내구친수성)을 유지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 발명은 영구적으로 친수성 처리된 직물 섬유 및 직물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여기에서 직물섬유 및 직물제품은 적어도 하나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경우에 따라서는 적어도 하나의 음이온 및 양이온,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계면활성제 조성물로 처리하여 섬유에 영구적으로 친수성을 부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보면 계면활성제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의 중량에 대하여 10-90wt%로 포함되며, C6-C18의 알콕시화 지방족 알코올, 알콕시화 아민, 알콕시화 아미드, 알콕시화지방산, 알콕시화 지방산에스테르, 알콕시화 알킬페놀, 지방산의 알콕시화 트리글리세리드 및 지방산과 이들 혼합물에 에스테르화 제품으로부터 선택된다. 이들 조성물은 또한 전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60wt% 이상의 소수성 첨가제를 함유하며, 소수성 첨가제는 지방산에스테르, 식물유 및 지방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기로 되어 있다.

국내특허를 보면 섬유나 직물을 친수성 계면활성제로 처리하여 반영구적으로 친수화하는 기술에 대하여 웅진케미칼에서 출원하고 있으며, 국내 관련 기업에서 이와 유사한 기술에 관심이 있을 경우 국내외 관련특허를 수집하여 특허권리범위 분석을 할 필요가 있으며, 최적의 기술을 설계하고 연구개발해야 할 것이다.

저자
Schill+seilacher GmbH
자료유형
니즈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6
권(호)
US20160281293
잡지명
U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8
분석자
서*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