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금운모 결정화 유리의 미세구조 설계

전문가 제언

본고에서는 유리에 대해 각종 핵생성 온도 및 열처리 시간과 결정성장을 위한 온도와 열처리 시간을 변화시키면서 미세구조의 변화와 미세경도를 측정한 결과 가장 기계가공성이 좋은 시편은 미세경도가 가장 작고 운모결정이 반 막대모양으로 끝이 둥근 것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결정화 유리의 성질은 주 석출 결정상과 미세구조에 의해 결정된다. 주 결정상은 유리의 조성에 의해 거의 결정되나 미세구조는 유리조성 이외에 결정핵생성 촉진제의 유무 및 양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핵생성 촉진제의 작용으로는 1) 유리의 분상촉진, 2) 불 균질 결정핵생성을 일으키기 위한 이종 결정표면의 제공, 3) 유리구조의 변화에 의한 균질 핵생성의 촉진 등이 있으며 본고에서는 TiO2를 촉진제로 사용하였다.

기계가공성이 우수한 결정화 유리로는 유리 중에 불규칙적 배향으로 운모결정이 상호 연결되어 있어 균열을 편향 및 약화시키며 운모결정의 벽개성 때문에 drilling, sawing 또는 lathe turning(선삭)시 매우 작은 균열이 절삭부분에만 집중되어 분말상의 절분을 만든다.

본고에서는 처음 열처리(800℃)에서는 주상이 MgF2이었으나 온도가 높아질수록 금운모와 고토 감람석결정이 나타났다. 고토 감람석이 많이 석출되면 높은 미세경도를 나타내어 기계가공성이 떨어진다. 시편 3(705℃/6h+1000℃/15min)에서 미세경도가 가장 작아 기계가공성이 가장 좋다고 하였으나 현미경관찰에서는 시편 2보다는 날카로운 판 모양의 결정이 약간 무뎌지고 기공률이 감소하였으나 비슷한 결정 배열로 설명하고 있다. 이 모순은 고온 현미경관찰이 아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시편 3은 적당한 온도에서 결정핵생성시간을 충분히 주어 핵을 중심으로 체적 결정화가 일어났다고 생각된다.

코닝의 MACOR는 항공, 전자, 의료, 고진공, 레이저를 포함한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적합성이 이미 입증되어 안정성, 내방사성, 전기절연체로도 주목받고 있다. KIST에서 AlN-BN의 기계가공성과 강도에 대한 연구가 있었으며 국내에서도 중소기업에서 이와 같은 정밀 가공성이 우수한 재료개발에 관심을 가져야 될 것이다.


저자
A. Faeghinia and M.Razavi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6
권(호)
42(2)
잡지명
Glass physics and chemistry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182~187
분석자
김*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