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과류와 그 부산물의 페놀 화합물, 생물 이용도 그리고 건강 유용성
- 전문가 제언
-
○ 견과류와 부산물(외피, 단단한 껍질, 내피 등)에 들어있는 페놀화합물과 항산화성에 관한 총설이 현재로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견과류와 부산물에 관하여 발표된 다양한 페놀화합물에 대하여 볶을 때의 효과, 항 산화성, 생물이용성, 건강이용성에 관하여 정리하였다.
○ 기능성, 특히 항산화성을 가진 페놀화합물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는 견과류와 그 부산물에 관하여 연구를 함으로서, 학문적인 성과뿐만 아니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상업적 개발의 촉진을 유발하는데 있다.
○ 국내 견과류 관련 연구로는, “견과 종실 류의 산화안전성에 관한 연구(신명희 등, 보건환경연구원보, 25, 2015)”,“국내 시판 견과 종실 류 중 중금속 함량비교”(이지연 등, 한국분석화학회지, 2013) 등 수입 견과류의 식품안전성에 관한 논문과 “굽는 방법으로 제조한 견과 종실 류 품질특성”(정해정 등, 한국시품조리과학회, 2008) 등 이 있다.
○ 견과류와 그 부산물에 있는 페놀화합물은 인체에 쉽게 생물학적으로 접근하여 이용될 수 있으며, 항산화, 항 소염, 프리바이오틱스, 항 미생물, 화학 예방, 고지혈증 예방 등과 같은 다양한 건강 유용성 효능을 가지고 있다.
○ 견과류의 부산물은 가공과정 중에서 나오는 것으로, 과거에는 사료나 연료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자연 항산화제가 풍부하게 들어있어서 기능성 식품의 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국내에서도 수입 견과류가 넘쳐나고 있는 실정인데, 안전성 검증은 물론 유통과정 중에서의 변질과 변패도 문제가 많은 식품이다. 특히 국내에서 생산되는 잣, 호두, 땅콩 등의 부산물에 페놀화합물이 다량 함유되어있으므로 이를 활용하는 연구도 앞으로는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 저자
- Sui Kiat Chang , Cesarettin Alasalvar , Bradley W. Bolling, Fereidoon Shahidi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6
- 권(호)
- 26()
- 잡지명
- Journal of Functional Food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88~122
- 분석자
- 장*섭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