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무기 검증을 위한 유기 액체 시료의 화학작용제 분석- 자성 흡착제를 사용한 고체상 추출법
- 전문가 제언
-
○ 국내에서도 화학무기금지기구(OPCW: Organization for the Prohibition of Chemical Weapons)에서 주관하는 공식적 숙련도 시험(official proficiency test)에 참여하고 있고 환경, 식품, 제약, 법의학 분야의 극미량 화학분석에서도 시료 전처리(sample preparation)가 중요시되고 있어 이에 대한 지속적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 최근에 고체상 미량추출법이나 용매 교환법과 같은 시료전처리 방법을 적용하여 화학작용제의 추출효율을 향상시킨 연구결과들도 발표되고 있으며, 각각의 시료전처리 방법마다 장단점이 있기 때문에 시료의 특성과 화학분석 조건을 고려하여 적합한 시료전처리 방법이 선정되어야 한다. 특히 고체상 추출법의 분석물질(analyte) 추출효율은 흡착제의 분석물질 흡착과 탈착성능에 큰 영향을 받으므로 흡착제의 선정이 중요하다.
○ 고체상 추출법에 자성흡착제(magnetic sorbent)를 사용할 경우 사용 후 흡착제를 회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고 분석물질의 특성에 맞추어 흡착제의 특성을 설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흡착제에 자성이 고르게 분포되도록 하고 분석물질의 추출에 적합한 구조 및 표면화학적 특성을 갖도록 흡착제를 제조하는 기술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 국내 학계에서 환경시료, 식품 등에 잔류하는 극미량의 유해화학물질의 추출에 고체상 추출법을 적용한 연구사례들이 많다. 그러나 대부분 상용화된 흡착제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분석물질의 추출효율을 높이기 위해 새로운 흡착제를 개발하려는 시도는 미흡한 실정이다.
○ 다양한 형태의 환경시료에 포함된 화학작용제와 특정 화학물질(scheduled chemicals)의 검출한계(limit of detection)와 정량한계(limit of quantification)를 낮추는 것은 화학무기 검증(verification) 업무에서 매우 중요하다. 앞으로 국내에 OPCW 지정실험실을 유지하기 위하여 시료전처리 조건과 화학분석기기 운용조건의 최적화에 관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한다.
- 저자
- Varoon Singh,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6
- 권(호)
- 1448()
- 잡지명
- Journal of Chromatography A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32~41
- 분석자
- 양*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