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정보 관리 방법과 시스템
- 전문가 제언
-
○ 최근에 건물 출입에 대한 보안통제가 중요하게 인식됨에 따라 다양한 기술들을 접목하여 보안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빌딩보안관리 시스템들이 개발되고 있다. 전통적인 방식에서는 출입문이나 복도 또는 승강기와 같은 접근 지점에 가까운 곳에 출입 판독기가 설치된다. 출입하고자 하는 개인은 접근제어 판독기에 카드키를 읽히거나 판독기와 가까운 범위에서 비접촉식 스마트카드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카드키나 스마트카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분실이나 도난의 우려가 있으며 불법적인 카드 복제도 문제가 될 수 있다.
○ 좀 더 보안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출입자에 대한 보안정책을 수립하고 신용정보를 관리함으로써 빌딩의 특성에 적합한 출입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최근에는 출입자 대부분이 스마트폰과 같은 스마트기기를 소유하고 있으므로 출입자의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출입통제를 한다면 비용 절감과 분실이나 도난 또는 불법복제에 의한 보안위협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본다.
○ 본 발명은 빌딩의 보안 강화를 위한 출입 접근제어시스템에 무선방식으로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같은 스마트기기를 이용할 수 있도록 신용정보를 관리하는 방법과 시스템을 제시하고 있다. 사물인터넷에 사용할 수 있는 저전력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 기술과 비콘(beacon) 방식의 무선통신을 이용하며 무선시스템에서 우려되는 해킹과 같은 보안위협에 대한 대응방안도 제시하고 있다.
○ 이제 거의 모든 건물에서 출입을 통제하는 보안시스템이 활용되고 있다. 기존의 출입 통제 방식은 대부분 카드키나 스마트카드 또는 출입증을 신분증과 겸용으로 출입 판독기에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카드의 분실이나 도난 또는 불법복제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출입자애 대한 보안정책을 수립하고 신용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출입자 대부분이 스마트기기를 보유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한다면 본 발명의 신용정보관리 시스템이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저자
- SENSORMATIC ELECTRONICS, LLC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6
- 권(호)
- WO20160134022
- 잡지명
- PCT 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23
- 분석자
- 남*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