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배양육이 미래를 위한 해결책인가

전문가 제언

사람이 섭취하는 식품의 생산은 항상 인류의 생존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역사와 함께 진화해 왔다. 이 연구는 인류가 필요로 하는 주요 단백질 식품인 육류를 시험관에서 생산하는 배양육에 대한 다양한 계층의 논의를 리뷰하고 있다. 배양육 생산은 환경과 동물을 보호하면서 인류에게 식이를 공급해야 하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으므로 자주 미디어의 관심거리가 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 전문가의 대부분은 시험관에서 육류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극복해야 할 많은 기술적인 문제가 남아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시험관에서 육류생산은 가축 복지에 대한 이해 부족을 해소하고 경작지를 확보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지만, 다른 예상되는 장점에 일부 과학계는 의문을 제시하고 있다.

 

배양육(培養肉, cultured meat, meat without animals, in-vitro meat)은 세포공학 기술로 쇠고기의 줄기세포를 배양해서 축산농가 없이 육류를 배양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과정은 세포의 유전자 지도를 전혀 손대지 않고도 배양할 수 있다. 햄버거 고기는 앞으로 가장 먼저 배양육으로 사용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국내 관련 연구로는 2015년 오는 배양육(In Vitro Meat)의 미래”, 2016년 한은 세포, 채소로 만든 인공 배양육이 미래 식품의 대안그리고 2016년 한 신문은 인공 고기(배양육)가 진짜 고기를 대체할 수 있을까를 발표한 바 있다.

 

2001년 이후 미국 NASA는 우주선에서 칠면조 고기를 배양하여 우주비행사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보통사람의 육류식품 선호를 충족하고 동물복지를 비롯하여 건강과 지속가능성에 대한 새로운 해결책은 확실히 개발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러나 현 단계에서 새로운 기술은 여러 가지 이유로 기존 육류생산에 바로 대체할 수 있는지는 앞으로 많은 토의가 필요하며, 신기술의 이론과 실제에 대한 확실성을 위한 연구는 광범위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저자
Jean-Francois Hocquette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6
권(호)
120()
잡지명
Meat Science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167~176
분석자
김*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