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풍력터빈의 소음 배출과 환경에 관한 영향의 해석

전문가 제언

 

  ○  풍력터빈 발생에너지는 화석연료로 인한 온실가스의 집중과 증가를 확실히 완화하는 환경 개선의 효과가 있으나, 거주 지역이나 다른 선택된 지역에서 풍력터빈의 건설 중 또는 운전 중에 발생하는 음향 소음이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  풍력터빈 음향 소음은 두 가지 소음 원으로 분류될 수 있다. 기어박스, 나셀, 회전기구 등 움직이는 부분에 의하여 유발되는 기계적 소음 원과 로터 블레이드의 유동 때문에 생기는 공기흐름의 변화로 인한 공기 역학적 소음 원으로 나뉜다. 그리고 이들 소음 외에 공장의 바람 유동, 구조 부적합, 다른 장애물, 수송수단, 새들, 산업대상물 등에 의하여 조성된 환경적 배경 소음이 존재한다.

 

  ○  풍력터빈 발생 소음 레벨은 음향 소음의 기계적 발생과정은 물론 구조요소들의 공기역학적 현상에 달려있고 이들 풍력터빈 발생 및 배경 소음은 풍속의 함수이다. 풍력터빈 음향 소음은 지표면과 주위 구조물들의 음향반사 과정 때문에 증가한다. 그리고 기계적 소음과정과 억제 수단은 공기역학적인 것보다 훨씬 문제를 덜 유발시킨다.

  ○  본문은 풍속 12m/s이상에서 풍력터빈 발생 소음이 전체 소음에 적게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한다. , 풍력터빈 타워로부터 50m 거리에서 풍력터빈의 작동 중 전체 소음은 55.9dB와 같고, 풍력터빈 정지 후에 50.3dB로 감소된다. 그리고 풍력터빈 음향 소음은 인간의 청력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 2005,000Hz 주파수 범위에서 발생한다.

 

  ○  풍력터빈이 설치장소가 해상이 아닌 도시의 거주 지역이거나 다른 선택된 지역일 경우, 풍력터빈 발생 소음 또는 환경 배경 소음에 관한 수학적 전파모델에 관한 다양한 연구와 풍력터빈 확산소음 억제과정에 관한 더욱 심층 연구가 요구된다. 이런 연구 결과는 향후 국내 풍력산업의 성장에 상당히 기여할 것이다.

 

 

저자
Vladislovas Katinas, Mantas Mar?iukaitis, Marijona Tama?auskien?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16
권(호)
58()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825~831
분석자
문*홍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