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거대 제약기업의 변화모델-핵심 추세의 영향

전문가 제언

 

이 논문은 수입분배, 연구부서, 포트폴리오 혼합 그리고 신흥시장 같은 주요 양상에 관해 1995년부터 2015년 사이의 기간에 걸쳐 전략적 관점에서의 변화, R&D의 재배치, 특정약품과 생물제제, 그리고 거대제약회사의 주요 수입원인 신흥시장의 성장을 이해할 수 있게 도와주는 네가지 주요 추세를 예측하기위해 데이터를 정리, 분석하였다.

 

최근에 환자가 필요로 하는 새로운 치료약을 생산하는 생물 의학분야에서 괄목할만한 성과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제약 산업은 약품가격과 변상, 계속되는 특허 소멸, 그리고 시장 변화 등의 심각한 도전에 직면해 있다.

 

전 세계 주요지점 내에 연구 부서를 위치시키는 것은 거대제약사가 제약산업계에서 학계 그리고 바이오텍 분야의 표적 위주의 동맹과 협력을 통해 외부 혁신에의 접근성을 넓힐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거대제약회사는 초기에 생물제제의 물결을 놓쳤으나 로슈와 제넨텍크간의 연수같은 표적인수를 통해 항체,단백질 그리고 세포치료로 2005년과 2015년 사이에 따라 잡았다. 그리고 2015년까지 결실을 맺어 대부분의 거대제약사의 포트폴리오는 특정약과 1차진료 단위간에 똑같이 분포되어있다.

 

제약 산업은 오랜 개발 기간과 규제 장벽 때문에 아직 미국과 유럽회사들이 지배하고 있다. 그러나 인도의 선파마, 이스라엘의 테바, 한국의 셀트리온과 한미제약, 중국의 헹그루이파마와 호순파마, 브라질의 EMS파마 등이 선도기업이 되기 위해 부상하고 있다. 이들 기업이 즉시 세계적인 혁신기업이 될 것같지는 않지만 2025년에는 이들 신흥 시장의 회사들이 화이자, 노바티스, 아스트라제네카, 그리고 머크 같은 세계굴지의 회사들과 경쟁할 수 있는 위치에 도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선진외국의 거대제약사에 비해 아직까지는 연구개발투자나 규모면에서 영세하지만 벤처기업으로 크게 성장한 C사 그리고 최근에 있다른 신약개발로 유명한 H사 등 유망한 국내 회사들이 첨단기술로 무장하고 연구개발 및 신약의 상품화에 많은 성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저자
Ajay Gautam , Xiaogang Pan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6
권(호)
21(3)
잡지명
Drug Discovery Toda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379~384
분석자
김*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