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신경퇴행성 질환에 대한 새로운 치료 표적의 선별을 위한 고 처리량 플랫폼

전문가 제언

 

알츠하이머병(AD), 파킨슨병(PD), 헌팅톤병(HD), 및 다발성 경화증(MS)과 같은 신경퇴행성 질환은 지난 수십 년간 연구되었으나 아직도 불치병으로 남아있다. 이런 원인중의 하나는 동물 모델에서 연구결과들이 그대로 사람에 적용되었을 때 맞지 않고 부작용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가능하면 사람의 생체내 환경과 유사한 환경 하에서 연구를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포에 기초한 플랫폼은 세포성장과 분화의 연구, 세포기능과 생리에 미치는 작은 분자와 세포성장조건의 영향의 탐구, 세포독성과 약물저항, 또한 포유류 세포의 신호전달 경로를 이해하는데 강력한 도구가 된다. 이런 연구에서 얻는 기초지식을 통해서 신경퇴행성 질환 치료를 위한 표적을 선별할 수 있고, 많은 화합물 중에서 치료 약제도 찾아낼 수 있다.

 

세포에 기초한 2D 모델의 하나인 Microfluidic platform을 사용하여 성장인자와 myelin 수선 약물 후보의 선별을 위해서 포유류 CNS axon-glia 상호작용을 연구하였다. 같은 2D microfluidic platform을 사용하여 글루탐산 자극독성을 연구하였는데, 신경세포체로부터 말단 축삭돌기를 분리하였고, 자극독성에 가장 민감한 뉴런의 부분이 말단축삭돌기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2D3D platform을 비교하였을 때 세포거동이 상당한 차이가 있었는데 이것은 3D에서 배양한 신경세포가 in vivo 에서의 거동에 훨씬 더 가깝다는 것을 뜻한다. 그러므로 점점 더 3D 배양을 선호한다. 한 연구는 사람세포주의 3D플랫폼인 Spheroid culture에 기초하여 tauopathy3D 모델을 개발하였고 이것은 새로운 치료 약제의 선별을 위한 효율적인 방법이고 in vitro에서 흥미로운 수준의 퇴화를 성취하였다.

 

3D2D Platform에 비하여 in vivo 환경에 가까운 환경을 제공하여 좀 더 진실에 가까운 결과를 얻을 수 있었고, 2D에서는 얻기 어려운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앞으로 연구에는 2D보다는 3D platform을 사용하여 좀 더 신뢰성 높은 성과를 올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저자
Daniela N. Rocha,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6
권(호)
21(9)
잡지명
Drug Discovery Today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1355~1366
분석자
서*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