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C에 대한 사물인터넷과 빅데이터 분석
- 전문가 제언
-
○ 세계 인구의 50% 이상이 도시에서 살고 있고 2050년 까지 세계 인구의 거의 70%가 도시에 살 것으로 예상되면서 점점 더 많은 도시들은 센서의 힘을 이용하고 스마트폰을 지참한 시민을 참여시키며 클라우드 컴퓨팅, 고속 네트워크 및 데이터 분석을 시작하는 등 스마트 도시는 세계적인 추세가 되었다. 도시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서비스가 제공될 것이나 지속 가능성과 에너지 사용에서 다양한 도전을 극복하여야 할 것이다.
○ 스마트 도시의 개념은 스마트하고 연결된 사회(SCC; Smart and Connected Communities)의 개념으로 진화하고 있는 것이 눈에 띈다. 커뮤니티는 도시, 마을, 또는 인근과 같은 동일한 지역에서 살고 있는 사람들의 그룹으로 정의된다. 비록 더 많은 사람들이 세계적으로 농촌 지역 보다 도시 지역에서 살고 있다 하더라도 2014년 세계 인구의 46%는 농촌 지역에 살고 있고 그 중 약 53 백만 명은 25, 000 미만의 인구를 가진 작은 마을에 살고 있다.
○ 큰 도시와 작은 마을 둘 다를 고려하는 SCC는 스마트 도시보다 더 많은 사람들에게 혜택을 줄 것이다. 사물 인터넷은 SCC에 대하여 연결된 장치 및 스마트 센서의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제공할 수 있으며 빅 데이터 분석은 SCC에 대하여 요구되는 IoT에서 이동을 실시간 제어 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 이 논문은 SCC의 특성, IoT 기반의 SCC 아키택처, SCC에서 빅 데이터 분석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현재 기회와 도전과제를 특정하고 있다. 우리나라 도시와 농촌의 인구분포도 세계인구 분포와 유사하므로 스마트 도시 뿐 아니라 SCC개념에서도 IoT와 빅 데이터 분석을 바라보는 관점이 필요하다.
- 저자
- YUNCHUAN SUN, HOUBING SONG, ANTONIO J. JARA, RONGFANG BIE,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6
- 권(호)
- 4()
- 잡지명
- ACCES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766~773
- 분석자
- 이*희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