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새우 껍질 페기물의 가수 분해물에서 ACE 저해 펩티드 생산

전문가 제언

 

본 연구에서는 새우껍질 폐기물에 중성 protease, alcalase, papain, bromelain 등 네 종류의 단백질 분해효소를 사용하여 ACE 저해 펩티드를 생산할 때의 적정조건과 생산된 펩티드의 저해활성 그리고 분리정제에 관하여 실험을 하였다.

 

주요 결과를 보면, 효소활성은 중성 protease114911.1,U/g으로 가장 높았으며, 가수분해도(DH%)는 중성 protease30.97%, bromelain29.26%, alcalase44.15%, papain24.65%로서 alcalase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가수분해 시에는 pH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그다음이 효소 량, 기질농도, 가수분해 온도 순서였다. alcalase의 적정 가수분해 조건은 효소 량 4000U/g, pH 9.5, 기질농도 25g/L, 가수분해온도가 60°C 이었다.

 

최종적으로 생산된 ACE 저해 펩티드는 5 KDa 막을 가진 분자량 절단 한외여과와 G-25 겔 여과 칼럼을 사용하여 각각 분리 정제하였다. alcalase와 중성 protease 가수분해물의 높은 ACE 저해 활성을 가진 펩티드는 2-6 아미노산 잔기를 함유하고 있었다.

 

국내에서도 이와 유사한 연구가 이루어졌는데, 그중에 단백질 가수분해효소에 의한 ACE 저해펩티드의 분획”(윤장호등, 산업식품공학,2003), “오징어 껍질로부터 ACE 저해 펩티드의 분리정제”(이정권 등, 한국수산과학회지,2011), “한우에서 추출한 Myosin BPepsin 가수분해물의 한외여과에 의한 ACE 저해 활성 분석”(김영주 등, 한국축산식품학회지, 2005,)등이 국내논문에 발표된 바 있다.

 

현재까지 발표된 대부분의 논문은 ACE 저해 펩티드의 생산과 관련된 효소와 저해활성에 관한 것으로, 앞으로는 생산된 저해 펩티드에 대한 동물실험은 물론 인체실험에 이르기까지 이 분야의 전문가와 공동으로 수행하여 실용화단계에 이르도록 진행해야할 것으로 본다.

 

저자
Simin Feng, Jarukitt Limwachiranon, Zisheng Luo, Xudan Shi , Qiaomei Ru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6
권(호)
51()
잡지명
International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1610~1617
분석자
장*섭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