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철강재료의 열처리 기술

전문가 제언

    

 

고주파담금질은 급속가열이므로 담금가열 시에 탄화물의 고용정도는 전열처리의 영향이 크다 하겠다. , 동일강종이라도 처리물이 조질재라면 탄화물이 미세하므로 급속가열 하여도 고용하여 쉽게 담금경화 한다. 그러나 어닐링재나 노멀라이징재의 경우는 조질재와 동일가열조건으로 고주파가열을 한 것은 탄화물이 고용하기 어려워 주의가 필요하다.

 

표면열처리에서 연질화처리 후에 수증기처리하면 질화화합물층의 최표층에 Fe산화물(Fe O )층이 생성되므로 내식성이 비약적으로 향상된다. 이 처리는 Cr도금의 대체처리로 고품질, 저코스트화에 유효하므로 공업적으로도 적용사례가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금형용 공구강에 대한 연구개발은 유럽의 경우는 특수강제조사 및 관련대학에서 주도하고 있다. 주연구개발 내용은 금형용공구강 신소재개발을 위한 합금설계 열물성 및 기계적 특성평가 표면처리 및 마모거동, 열처리 최적화 등을 들 수 있다. 국내의 경우는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융합원천기술개발사업으로 수행중인 자동차 부품용 장수명 금형소재 및 가공기술과제참여업체를 중심으로 연구개발을 주도하고 있다.

 

국내에서 개발된 고강도-고성형성의 쌍정유기소성강이 20년 이상의 연구를 통해 상용화에 다가가고 있음을 볼 때 새로운 소재 및 공정에 대한 원천기술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이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원천성을 갖춘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단기응용연구에 치우쳐 있는 국내 연구 환경을 개선하여 창의적 아이디어에 기반을 둔 소재 및 공정에 대한 기초연구의 비중을 높이고 장기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저자
N. NIHIRA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6
권(호)
57(666)
잡지명
塑性と加工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592~598
분석자
김*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