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급체인 구조와 바이오매스 가격이 바이오에너지 원료 공급에 미치는 영향
- 전문가 제언
-
○ 이 연구에서는 캐나다 Ontario주의 지팽이풀과 억새의 공급을 바이오에너지 정책을 평가하기 위하여 경제적, 생물-물리적 및 GIS 모델을 이용하여 각기 다른 바이오매스 가격과 공급체인 구조에 대한 평가를 하였다. Nanticoke 발전소로 수송하는 경우, 바이오매스를 약 $69/t의 가격으로 4백만 톤을 Nanticoke 발전소로 공급할 수 있다.
○ 바이오매스 가격이 $198/t이면 Rotterdam으로 바이오매스 펠릿 형태로 농장에서 압축하여 연간 2천만 톤을 수출하는 것이 매력적이다. 수출 공급체인에서는 주요항구에서 $137/t로 압축하여 Rotterdam으로 수출할 수 있다. 곤포(bale: 짐짝) 수송이 수송비면에서 고가이나 농지가 항구에서 가깝고 생산성이 낮아 농장에서 압출하기보다는 인근 항구에서 압출하는 편을 선호한다.
○ Nanticoke 발전소에서 바이오매스에 대한 수요를 정부에서 보장하고 인센티브를 부여한다면 이 공급체인은 가능하나, 수출시나리오는 기반 구조의 제한으로 현재의 펠릿 공정용량이 제한적이며 국제정세가 불안하고 상풍시장이 확보되지 않아 그다지 매력적이지는 못하다.
○ 우리나라의 경우, 농림기술개발사업(사업관리기관: 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을 통해 2008년부터 5년간 지원하고 있는 ㈜젠닥스 연구팀이 억새와 갈대의 우량품종을 단기간 동안 대량으로 증식할 수 있는 신기술 개발에 성공하였다고 밝혔다. 억새와 갈대는 우리나라가 유전자원을 확보하고 있는 대표적인 바이오에너지 원료작물로서, 이번에 개발된 신기술은 국내 바이오에너지 원료작물을 안정적으로 생산하는데 기여할 것이며 바이오에너지자원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지금까지는 억새 또는 갈대는 종자, 줄기, 뿌리를 이용하여 증식해 왔으며, 또한 이들 1개의 증식재료에서 얻을 수 있는 개체수가 제한적일뿐만 아니라 증식에 소요되는 기간도 8개월로 길어 대량 증식에 어려움을 겪어 왔으나, 신기술개발로 우수한 억새 또는 갈대의 꽃봉오리 1개로 6개월에 1ha 면적에 심을 수 있는 개체 수(4만 개체)까지 대량으로 증식 할 수 있게 되었다.
- 저자
- Aaron V. De Laporte,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6
- 권(호)
- 183()
- 잡지명
- Applied Ener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1053~1064
- 분석자
- 이*찬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