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암 치료 전략으로 탈유비퀴틴 효소에 의한 TGF-β 신호경로의 조절

전문가 제언

TGF-β패밀리(TGF-βs, 액티빈 및 BMPs)에 속하는 시토카인들은 I형 및 II형의 이질2량체로 된 수용체에 결합 후, Smad형 및 비-Smad형 신호경로들을 통해서 매우 다양한 세포형들에서의 세포주기 진행, 세포의 분화, 이주/침투 그리고 생존/세포자살 등의 조절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암세포들에서 TGF-β신호계의 이상은 암세포의 생장저해 상실, 침투, 상피-간엽전환 및 전이를 이끈다.

 

전발암성 TGF-β반응이 현재 특정 침투형 및 전이형 암형들에 대한 강력한 치료표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한편, 유비퀴틴(Ub)에 의한 번역후-변형 조절이 최근 TGF-β신호경로 성분들 조절에서 하나의 중요한 기구로 부각되고 있다. 이 리뷰는 탈유비퀴틴효소들(DUBs)TGF-β신호경로 조절 기작들과 암에서 DUBs의 발현과 기능의 동요에 의한 TGF-β신호계 조절이상에의 관여와 DUBs 저해에 의한 암 치료전략에 관해 알아본 것이다.

 

연구자들은 유비퀴틴화와 탈유비퀴틴화에 의한 TGF-β신호경로의 조절기구에 대해 소개하고, TGF-β신호경로들의 여러 단계에서의 DUBs의 표적들(TGF-β/BMP수용체, R-Smads, Co-Smads, 억제성(I)-Smads, -Smad 신호들)에 근거한 암의 치료전략(암세포 생장의 중지, 암세포의 침투나 전이억제)을 제시한다.

 

이어서 DUBs USP14UCHL5를 표적으로 한 PI(proteasome inhibitor)b-AP15AC17 그리고 USP9x, USP5, USP14, UCHL5를 표적으로 한 WP1130(degrasyn)를 비롯한 몇 가지 DUBs에 대한 특이 저해제를 개발 현황을 소개한다. 연구자들은 이들 DUBs에 대한 특이 저해제들이 인간 암들에 치료 효능이 희망적임을 밝히면서, 특이 DUB 저해제들 개발의 주 장애요인들의 극복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국내의 항암약제 개발에 종사하는 생명공학, 약학 그리고 제약 및 생명벤처회사의 관련분야 종사자들에게 이 리뷰는 암 치료 효과의 전망이 밝은 특이 DUBs 저해제들 개발 및 치료전략 수립에 좋은 활용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저자
Sijia Liu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6
권(호)
76()
잡지명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Biochemistry and Cell Bi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35~145
분석자
강*성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