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바이오 숯이 토양환경에서 농약거동에 미치는 영향

전문가 제언

바이오 숯은 공기를 차단하고 목재류 및 동물 잔류물을 가열하여 유기물의 열분해를 일으켜 남는 물질을 통칭하는 것으로, 탄소 90%, 수분 7%, 회분 3%의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숯의 제조시설 및 탄화 비율 등이 규격으로 규정되어 있다. 국내에서 숯에 관한 규정은 산림청에서 제정한 “목재의 지속가능한 이용에 관한 법률”에서 숯에 대한 품질기준 등이 설정되어 있으며 목탄 등 숯 15종에 대한 규격과 품질기준을 규정하면서 임업진흥원의 규격 및 품질검사를 받도록 하고 있다.   

국내에서 토양환경을 보존하기 위하여 토양환경보존법, 토양환경보존법 시행령, 토양환경보존법 시행규칙 등이 제정되어 시행되고 있는데, 토양환경평가, 토양오염관리시설, 방지업체 등 전반적인 사항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다. 토양오염 방지 대책이나 오염토양 복원 기술 개발 등의 업무는 환경부의 중장기 환경기술 종합 발전 계획인 “환경기술로드맵”(Eco-TRM 2022)에 포함되어 추진되고 있으며 토양오염에 따른 지하수 오염 방지 대책, 토양 안정화 기술 등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있다.   

토양의 복원 기술은 1980년대 중반부터 시작하였으며, 크게 토양 오염물의 확산을 방지하는 기술과 오염물을 직접 제거하고 정화하는 기술로 나눌 수 있는데, 오염 물질의 용출을 방지하기 위한 물리적 고화 및 화학반응/용해에 의한 고화 등이 사용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SITE(슈퍼펀드 혁신기술평가) 프로그램에 의거 입증된 70여 가지의 기술이 적용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아직 수질이나 대기환경에 비하여 토양에 대한 정화기술이 일반화되지 못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바이오 숯을 이용한 토양환경 개선 연구는 농촌진흥청이 주관하고 있는데 농경지 아산화질소 배출량 감소를 위한 왕겨숯의 이용에서는 왕겨 숯 1톤이 1 ha의 농경지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2% 이상 줄이고 있다. 또한 농산부산물을 탄화물로 가공하여 토양에 뿌리면 토양의 용적밀도와 경도가 낮아지고, 토양 유기탄소 함량과 식물 유효수분이 증가하는 등의 토양 물리성이 개선된다는 연구 등이 있는데 좀 더 확대하여 세부적인 연구수행이 필요한 분야이다.

저자
Mahdi Safaei Khorram, Qian Zhang, Dunli Lin, Yuan Zheng, Hua Fang, Yunlong Yu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6
권(호)
44()
잡지명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69~279
분석자
황*중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