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블랙카본과 원소탄소의 대기 오염원 할당에 관한 미국과 유럽의 연구 사례

전문가 제언

기후변화를 일으키는 대표적 물질로 온실가스와 에어로졸이 있으나 대부분의 연구와 정책들이 온실가스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온실가스와 달리 블랙카본(BC; Black Carbon)과 같은 에어로졸은 지역적으로 농도 편차가 크고 기후변화에 미치는 영향도 불확실한 부분들이 많기 때문에 앞으로 BC나 미세먼지의 오염원 식별과 기후변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실효성 있는 BC나 미세먼지 저감 대책을 수립하기 위하여 오염원들의 식별, 오염원별 기여도(source contributions), 실시간 대기 오염농도 측정결과들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따라서 국내에서도 여러 지역을 대상으로 오염원 할당기법을 적용한 오염원별 기여도 예측결과와 전 국토차원의 오염농도측정 결과들을 확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국내 학계에서 일부 지역을 대상으로 CMB(Chemical Mass Balance)법이나 PMF (Positive Matrix Factorization) 법을 적용한 미세먼지의 오염원 할당 연구 그리고 aethalometer를 사용하여 대기 중 실시간 BC 질량농도 측정사례가 있으나 연구사례가 매우 빈약한 실정이다. 앞으로 대상지역을 확대하여 다양한 오염원 할당기법을 적용하고 계절과 기상조건 변화에 따른 BC와 미세먼지의 오염원 할당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오염원 할당기법을 적용한 오염원별 기여도 예측결과의 불확실도 평가에 필요한 표준화된 방법의 개발과 오염원 할당기법들 간의 상호비교에 관한 연구도 학계의 바람직한 연구과제가 될 수 있다.

 

대기오염, 인체건강 및 기후변화 측면에서 대기 오염물질인 BC의 국가차원의 체계적 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국내에서도 BC의 오염원 할당 연구결과와 배출량 조사에 기초하여 배출량 저감 대책을 수립하고 BC의 대기 중 확산/이동 예측 모델링, 인체 위해성 평가, 환경 내 거동에 관한 연구, BC 배출 저감 장치 개발 등의 연구가 활성화되어야 한다.

저자
Nicole L. Briggs, Christopher M. Long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6
권(호)
144()
잡지명
Atmospheric Environ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409~427
분석자
양*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