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가 잔류성 유기오염물질의 환경 거동에 미치는 영향
- 전문가 제언
-
○ 기후변화로 인한 기온상승, 강수패턴이나 강수량의 변화, 바람방향의 변화 등은 대기, 수질, 토양 등에 분포된 환경오염물질의 이동/확산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특히 기온상승은 유기오염물질들의 휘발도(volatility)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이들의 오염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다.
○ 환경에 존재하는 잔류성 유기오염물질들(POPs;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은 암이나 내분비계 장애 등을 일으킬 수 있는 독성물질이며 자연적 분해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생태계에 장기간 피해를 줄 수 있다 따라서 기후변화에 따른 이들의 환경거동을 밝혀내는 것은 환경보건측면에서 중요한 연구과제가 될 수 있다.
○ 국내 환경연구 분야에서 POPs 관련 연구는 매우 빈약하며 학계에서 PAHs(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의 토양층 거동, POPs의 해양환경에서 생물농축 특성에 관한 연구사례가 있으나 기온변화와 연관시켜 POPs의 환경거동을 연구한 사례는 없다.
○ 최근에 기온상승은 POPs 뿐 아니라 수은과 같은 중금속들의 환경거동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들이 발표되고 있다. 따라서 국내에서도 환경 내에서 쉽게 소멸되지 않고 장기간 잔류하는 오염물질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시공간적 환경농도 분포, 국가 간 장거리 이동특성, 환경거동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
○ 환경오염물질의 환경거동은 기상조건, 대기, 토양, 담수, 해양 등의 환경매체의 특성, 오염물질의 물리화학적 성질 등 많은 변수들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장기간에 걸친 체계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 국제적으로 규제대상 POPs가 계속 증가하고 POPs의 생태계와 인체에 미치는 유해성이 크기 때문에 국가차원의 체계적인 POPs 관리대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POPs 배출량 조사, POPs 환경농도 분석, 인체 노출량 및 건강영향 평가, 국가 간 장거리 이동 등과 관련한 연구들이 국내에서도 활성화될 수 있도록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
- 저자
- Jianmin Ma, Hayley Hung, Robie W. Macdonald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6
- 권(호)
- 146()
- 잡지명
- Global and Planetary Chang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89~108
- 분석자
- 양*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