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FCC 경질순환유와 가축 폐기물 지방을 일반 정유분과 혼합 처리

전문가 제언

바이오 디젤은 수입 석유의 양을 줄이고 사용시 SOxNOx 및 미세먼지 배출을 줄여 주는 신재생 에너지로 세계적으로 각광을 받으며 그 생산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주로 식물성 지방을 원료로 사용하는 까닭에 그 원가가 높은 편이다. 본 연구는 폐기물 지방을 사용하고 또한 저품질의 경질순환유(LCO)를 혼합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바이오 디젤을 생산하는 실험으로 공정의 최적 조건을 찾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우리나라는 현재 디젤유에 바이오 디젤을 2.5% 추가하도록 규정되어 있으며 이 수치를 2020년에는 10%로 올릴 계획으로 있어 많은 회사에서 바이오 디젤 생산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독일이 바이오 디젤 생산 및 사용에 가장 적극적이며 연료세를 극히 낮게 책정하여, 가격이 경쟁력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도심버스나 대형트럭의 경우 100% 바이오디젤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UNFCCC(기후변화협약)은 바이오 디젤에 대해 CO2 배출을 0으로 인정하고 있다.

 

현재 동남아국가에서 식물성 바이오 디젤의 원료인 팜오일의 대대적 생산에 나서고 있고 국내업체에서도 이를 수입하여 원료로 사용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도 바이오 디젤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주로 식물성 원료를 다루고 있다. 가축 폐기물 지방과 같은 원료는 현재 시스템에서는 그 원료를 안정적으로 얻기가 어려워 사용화에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식물성 원료로 바이오 디젤을 생산하는 것은 다른 나라에 비해 경쟁력이 현저히 떨어지므로, 폐기물로 버려지는 동물성 지방을 별도로 수거하는 체제를 만들고 이를 우리나라의 발전된 정유설비를 이용하여 고품질의 바이오디젤을 저렴한 가격에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적 정비가 필요하다 하겠다.

저자
Daniel Sagi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6
권(호)
111()
잡지명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34~41
분석자
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