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온 응용 핫멜트 접착 조성물
- 전문가 제언
-
○ 저온응용 핫멜트 접착제에 관한 조성물의 특허권에 관한 특허 청구범위와 관련하여 국내에 미치는 영향은 현재는 아직 나타나고 있지 않으나 점차로 국내 일반 산업분야에서도 저온에서 응용될 수 있는 핫멜트 접착기술이 필요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 국내에서 핫멜트 접착기술이 향상되고 저온에서도 접착공법이 적용될 경우에는 본 특허의 내용과 같은 특허기술이 필요하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국내에서도 하루 빨리 저온에서 적용할 수 있는 핫멜트 접착기술을 개발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저온응용 핫멜트 접착제의 조성물들을 잘 검토하고 종합적으로 분석 연구하여 발명특허를 출원해야 된다고 제언한다.
○ 본 발명특허의 핵심내용은 저온응용 핫멜트의 접착제 조성물이 첫째로 약 15wt%의 불포화 중간블록을 갖는 스틸렌 블록 공중합체와 용융흐름속도가 약 15g/10min(190℃, 2.16kgs)으로 약 10wt% 넘지 않는 이중블록 스틸렌을 포함하며 그 핫멜트 접착제의 조성물이 121℃에서 약 15,000cps 점성도를 넘지 않는 조성물로 구성한다고 제안하고 있다.
○ 추가로 주장하는 특허청구권은 저온응용 핫멜트 접착조성물이 121℃에서 7,500cps의 점성도 보다 크지 않는 경우와 121℃에서 5,000cps의 점성도 이하의 것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스틸렌 블록공중합체들의 용융흐름속도(MRF) 값도 약 15g/10min(190℃, 2.16kgs)에서 약 200g/ 10min(190℃, 2.16kgs)까지의 범위에 있다고 제안하고 있다.
○ 국내에서 핫멜트 접착제의 응용기술 수준은 점차 높아지고 있다. 그리고 핫멜트의 접착기술도 상당히 진전되어 응용 확대되고 있다. 일반 산업용에서는 종래에 사용하여 오던 핫멜트 접착기술로 잘 진행될 것으로 보이나 의료용 저온응용분야에서는 새로운 기술과 방법이 있어야 한다. 그 중에 하나의 추진방향이 본 저온적용 핫멜트 접착기술이므로 이 방법을 잘 활용하여 연구하면 새로운 저온응용의 핫멜트 접착기술이 나올 것으로 기대한다.
- 저자
- H.B. FULLER COMPANY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6
- 권(호)
- WO20160149375
- 잡지명
- Low Application Temperature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29
- 분석자
- 성*길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