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불량식품과 식품업계 전망

전문가 제언

식품 변조는 새로운 현상이 아니고 그리스와 로마 제국에서 이미 시작되었다. 그러나 분석 기술이 발전한 불과 몇 년 전부터 문제를 탐지할 수 있게 되었다. 우리나라에서도 유통 기간과 원산지 변조, 불량한 재료 사용, 시설 기준 위반 등 식품 변조가 끊임없이 일어나고 있다. 2013년 유럽의 말고기와 2008년 중국 우유 추문으로 잘못된 표지가 현대 사회에서 큰 문제이며 거대한 규모로 일어날 수 있음이 확실해졌다.

 

식품 변조는 식품 교역 증가와 새 시장 등장으로 식품 가격이 꾸준히 올라가면서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다. 자원 병목 현상, 더 많은 이윤을 얻을 수 있는 기회와 부적절한 법제도가 부정확한 표지와 변조를 북돋는다. 식품을 ‘인증’받기 위해서는 표지 규정, 성분, 생산 규약 및 유전적 일치성 등이 요구된다. 식품 인증과 식품 표지 진실성은 식품 산업, 규제 기관과 소비자 모두에게 주요한 관심사이다.

 

변조된 제품은 제품의 상징적인 가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소비자들은 대부분 변조된 식품을 모르고 무심코 산다. 생산 공정에서 다른 성분이나 규정에서 벗어난 값싼 성분으로 변조되지만 표지 성분은 원 제품과 같을 수도 있다. 원산지가 바뀌고 때로는 알레르겐이 포함되는 특별한 사례까지도 있다.

 

변조를 탐지하는 장치를 구하려는 소비자들의 요구가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소비자들이 원산지와 성분을 시험할 수 있는 몇 가지 규약이 개발되었다. 식품 인증에 필요한 정립된 방법은 시간이 걸리고 비싼 장비를 쓰기 때문에 간편한 IR(InfraRed) 분광분석법이 더 매력적이다.

 

전자 광학과 생명 공학 기술이 엄청난 속도로 발전하고 있어서 앞으로 몇 년 안에 스마트폰보다 작은 장비로 식품에 대한 여러 가지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될 것이다. 여러 기술을 결합한 다중 접근법은 원산지 결정에 희망적이며, 완전히 새로운 장비 설계로 수요에 부응하게 될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도 나노기술을 써서 생수병 인식표에 자석을 대면 색이 변하여 변조를 원천적으로 막는 기술이 개발되는 등 식품 변조를 막기 위해 막대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저자
Christian W Huck, Cornelia K Pezzei, Verena AC Huck-Pezzei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6
권(호)
10()
잡지명
Current Opinion in Food Science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32~37
분석자
김*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