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농약노출과 농촌주민의 갑상선 기능

전문가 제언

농약은 주로 농업에 종사는 사람들이 농산물의 병해충 및 해로운 잡초를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과다한 사용 및 잘못된 농약관리 등으로 인하여 급성 및 만성적으로 농민들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이들 농약에 의한 병리적 증상으로는 멀미, 구토, 두통, 어지러움, 발열, 피부 두드러기 등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심한 경우에는 졸도, 신경마비, 혼절 및 사망에 이르기도 하는데 농약을 취급하는 농부들이 주로 피해의 대상이 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농약의 피해는 조사 기관, 조사 시기에 따라 달라지고 있는데 농약중독 경험자는 조사대상자의 16∼57% 범위였으며 농약피해는 맹독성 농약을 장기간 살포하면서 방제 마스크와 방제복 등을 착용하지 않아서 피해가 크게 나타나고 있다. 2016년에 충남 농업안전보건센터에서 조사한 바에 의하면 국내 등록허가를 받은 농약 유효성분 134개에 대한 발암성, 생식독성, 내분비계 교란 등에 대한 독성을 조사한 결과 77개 유효성분이 하나 이상의 독성을 갖고 있었다.  

국내에서는 "유해화학물질관리법", “농약관리법”, “폐기물관리법”, “잔류성 유기오염물질 관리법”, “수질환경보존법” 등을 통해 정부에서 농약을 관리하고 있으나 쥐를 잡는데 사용하는 살서제와 해충을 포식하는 천적은 농약에 포함시키지 않고 있다. 또한 농약관리법에 의해 농약의 생산, 관리, 보급, 규제 등을 수행하고 있으나 파리, 모기, 바퀴약 등의 위생병해충 방제약품은 농약과 같은 화학성분에도 불구하고 의약품으로 구분되어 있다.  

농약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강화된 환경오염 저감대책을 수립하거나, 농약의 잔류허용기준 및 농약 안전사용기준을 준수하여야하고, 저 독성 및 생물농약을 개발하도록 노력하며, 종합적인 방제체제를 구축하여야한다. 농약의 피해를 줄이기 위한 연구는 많은 시간과 예산이 필요한 분야이며 특히 농약이 사람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국민의 정신 및 신체 건강 증진을 고려하여 지속적이고 집중적인 연구를 위해 정부차원의 지원과 확대가 요구된다.

저자
Camila Piccoli, Cleber Cremonese, Rosalina J. Koifman, Sergio Koifman, Carmen Freire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6
권(호)
151()
잡지명
Environmental Research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389~398
분석자
황*중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