층상 납 할로겐 페로브스카이트 나노판을 이용한 순수 보라색 발광다이오드
- 전문가 제언
-
○ 유기-무기 납 할로겐 화합물, 페로브스카이트를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발광층으로 응용하고자 하는 기술의 발전은 3차원 구조의 페로브스카이트에서 2차원 구조까지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다. 여기 소개되고 있는 것은 2차원 구조를 이용하여 3차원 구조에서는 얻기 어려운 보라색 발광다이오드를 시현하고 있다.
○ 상온에서 효율적으로 작동하는 페로브스카이트 보라색 LED의 발전가능성을 확인한 연구결과가 주목할 만하다. 흔하지 않고 상업적으로도 값비싼 무기재료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보라색 발광재료가 처음으로 소개되었다는 점에서 이 연구결과를 높이 평가해야 할 것이다.
○ 그러나 모든 일의 시초가 그렇듯이 현재로서는 가능성만 확인된 것일 뿐 실용성의 관점에서는 아직도 가야할 길이 멀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결론부분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1) 나노판상의 두께를 최소화하면서도 기판 위에 100% 고르게 코팅할 수 있는 기법, (2)적합한 짝의 전하 수송층을 발굴하는 것에 대한 기술진보가 향 후 중심적인 과제가 될 것이다.
○ 매번 지적해 왔지만 국내의 이 분야연구는 주로 태양전지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3차원 페로브스카이트가 태양전지의 핵심적인 재료로 부상한 지도 여러 해가 지났기 때문에 이 분야 연구의 첨단을 걷고 있는 국내과학기술진의 관심을 벗어날 수가 없기 때문이다.
○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이제 페로브스카이트는 태양전지는 물론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필수발광재료로도 각광을 받고 있다. 국내 디스플레이 기술의 국제적인 수준이나 기여도를 고려할 때 지금 현재 당연히 이 분야연구에서 역동성을 발휘하고 있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표면적으로는 그렇지 않다는 것이 조금 염려가 된다.
○ 그러나 보다 조직적인 연구개발 체재가 갖추어 진다면 지금까지 이뤄놓은 기술을 토대로 하여 지속적인 기술우위를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가 된다.
- 저자
- Dong Liang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6
- 권(호)
- 10()
- 잡지명
- ACS Nano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6897~6904
- 분석자
- 최*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