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격 아웃소싱 기술 - 폐 핸드폰의 재활용
- 전문가 제언
-
○ e-폐기물 가운데 특히 소형으로 다량으로 발생하는 폐 휴대폰은 천연 광산에 비해 많은 유가금속인 희토류 원소(rare earths)와 중요 금속(critical metals)을 함유하고 있다. 특히, 재활용을 통해 회수되어야 할 중요한 네 가지 유가 금속은 팔라듐(Pd), 탄탈룸(Ta), 금, 은 등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e-폐기물은 도시 광산이라고 지칭되고 있다. 휴대폰에서는 금속이 총량의 절반을 차지하며, 휴대폰 내에 유가금속은 대부분 인쇄 회로 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에 포함되어 있다. 그러므로 폐 휴대폰 내에서도 폐 PCB의 재활용 기술이 관심을 끌고 있다.
○ 현행 재활용 기술은 해체 공정, 분리 공정 등으로 구성된다. 해체 공정에는 수동 해체, 기계-기반 해체 등으로 대분된다. 물리적 분리 공정에는 시각적 방법, 자기 방법, 공압 방법, 정전기 방법 등이 있다. 시각 정보를 바탕으로 하는 시각적 분리 방법은 유가금속과 비유가금속 분리에 가장 유연하고 안정적인 방법이다. 시각적 방법은 직접 시각적 분리, 원격 시각적 분리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 폐 휴대폰과 관련하여, 다양한 물리적 분리 방법을 사용하는 현행 재활용 시스템은 효율적이고 청정하다. 하지만, 이 시스템은 대규모 장치의 시설비, 운영비 등을 필요로 하고, 유가 물질의 재활용 전략 변경시 공정 조정이 유연하지 못하다. 또한 고노임 지역에서는 재활용 물질 가치가 수동 분리에 의한 재활용 처리 비용을 상쇄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따라서 혁신적 재활용 시스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 현행 재활용에서는 수동해체방법 또는 분쇄(pulverization) 및 자동분리방법을 도입하고 있다. 혁신적 재활용 시스템에서는 재활용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공정의 결합을 제시해야 한다.
○ 국내 현황 및 향후 연구 개발 동향 : 폐 휴대폰 내 금속의 시각적 분리 특성 기술과 관련하여, 국내에서는 연구가 알려진 바 없다. 그러나 2016년에 한남대학교에서는 폐 PCB에서 유기용매를 활용한 단체분리와 농축 기술을 연구하였다. 향후에 직접분리 대신에 인터넷-매개 클라우드 파워(cloud power)를 활용한 원격분리기술이 개발돼야 한다.
- 저자
- Mishima N,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6
- 권(호)
- 47()
- 잡지명
- Procedia CIRP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424~429
- 분석자
- 김*호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