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폐 휴대폰 금속의 특성-원격 재활용 기술

전문가 제언

e-폐기물현행 재활용 기술은 해체 공정, 분리공정 등으로 구성된다. 해체 공정에는 수동 해체, 자동 해체 등으로 대분된다. 물리적 분리공정에는 시각적(visual) 방법, 자기 방법, 공압 방법, 정전기 방법 등이 있다. 시각적 방법은 유가 금속과 비유가 금속 분리에 가장 유연하고 안정적인 방법이다. 예를 들면, 자기 방법은 자성체(: )를 분리하고, 정전기 방법은 도전체를 척력 제거하고 플라스틱 종류를 분리한다.

 

소형 e-폐기물 재활용 시스템 특성은 다음과 같다: 소형 e-폐기물 재활용 시스템에서 유가 금속은 폐 제품의 많은 양에 분산되어 있고, 수집하기 쉽지 않다. 재활용 시스템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금속 복합재는 농축돼야 한다. 이런 농축을 통해 시스템은 비유가 금속의 처리 작업량을 감소할 수 있다.

 

소형 e-폐기물과 관련하여, 실용적인 현행 재활용 공정에서 발견되는 기술적 모순(technical contradiction)은 다음과 같다: 수동 해체 공정은 재활용 시스템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 적합한 공정이다. 수동 해체 기술은 금속 농도를 효율적으로 높이지만, 해체 노동비용을 상승시키는 모순을 일으킨다.

 

이러한 수동 해체 기술의 모순은 창의적으로 해결될 수 있다. 수동 해체 기술의 창의적 대안 기술은 금속 농도를 높이고 노임도 절감시키는 기술이어야 한다. 예컨대, 모순 해결책의 하나는 재활용 비용 절감을 위해 자동 파쇄와 원격 수동 분리를 결합시킨 원격 운전(remote operation) 재활용 기술이다. 원격 운전은 인터넷-매개 클라우드 파워를 활용하여 노임이 저렴하고 노동력이 풍부한 국가 또는 지역에서 실행된다.

 

국내 현황 및 향후 연구 개발 동향 : 폐 휴대폰 내 금속의 시각적 분리특성 기술과 관련하여, 국내에서는 연구가 알려진 바 없다. 그러나 2016년에 한남대학교에서는 폐 PCB에서 유기 용매를 활용한 단체분리와 농축 기술을 연구하였다. 향후에 근접 분리 대신에 인터넷-매개 클라우드 파워(cloud power)를 활용한 원격 분리기술이 개발돼야 한다.

저자
Oki J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6
권(호)
40()
잡지명
Procedia CIRP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74~279
분석자
김*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