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일본의 최근사용 미네랄소재와 시장동향

전문가 제언

 

 

?전문가 제언?

 

일본에서의 몇 년간 미네랄 섭취량은 너무 변하지 않았고 식염(Na)섭취량은 점차 줄어들고 있지만, 5년 전의 2009년 국민건강?영양조사의 결과와 2014년의 결과를 비교해 보면 개선은 보이지 않았다.

 

오히려 여성은 칼슘과 철분의 섭취량이 감소하고 있는 것이 걱정되는 상태이다. 현재는 multi mineral concept의 보충제나 유동식 등으로 처방되는 미량 미네랄도 있지만 향후의 시장 활성화를 위해서도 현재 논의되고 있는 미네랄의 기능성표시가 실현되길 기대된다.

 

미네랄 시장 전체는 안정되고는 있지만 큰 성장도 보이지 않는다. 현재 6개의 미네랄이 있지만 현재 시장에서 이용되고 있는 것은 이전부터 알려진 뼈를 위한 K, 빈혈 예방의 철분 정도이며 기타 미네랄의 기능에 대하여는 그다지 이용되지 않고 있다. 현재 논의되고 있는 기능성표시식품의 대상이 되면 시장이 긍정적으로 움직일 가능성이 있다.

 

칼슘은 성장기의 아이뿐만 아니라 locomotive syndrome 예방 때문에 중년 및 고령자에게도 중요하다. 또한 격렬한 운동으로 인한 빈혈(스포츠 빈혈)이 알려지게 되었고 철분섭취는 여성뿐만 아니라 선수와 스포츠 애호가에게서도 주의가 필요하다. 최근에는 아연부족에 따른 미각장애가 화제에 오르는 경우도 많아지고 고령자용 영양으로서의 인지도가 확대되고 있다.

 

다종류의 미량 미네랄이 포함된 점을 살려 건강식품으로 이용을 늘리고 있어 열사병 대책과 여름을 위한 음료 등의 미네랄 성분으로 이용하는 사례도 늘고, 또 두유, 대두단백질의 콩 냄새를 억제시켜 맛을 부드럽게 하는 등 마스킹 기능이 높고 녹즙에는 미네랄 강화하는데 많은 전문적 연구가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앞으로 미량 미네랄이 젖산균 배양액에 미네랄 원으로서 첨가시켜 발효를 촉진하는 기술개발이 기대되고 유산균의 배양에도 적극적 이용방안이 크게 기대된다.

 

 

저자
Editors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6
권(호)
51(5)
잡지명
食品と開發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41~54
분석자
이*갑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