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 2차원 포토닉 필름

전문가 제언

화학적인 특징이 아니라 물리적인 구조를 독특하게 설계함으로써 전기적 및 광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원리에 입각하여 역 오팔 구조를 가지고 있는 페로브스카이트(IOP) 필름의 제조와 응용을 소개하고 있다. 필름의 특성과 이를 기반으로 하는 태양전지의 다양성과 성능에 관한 고찰에 귀 기울여 볼만하다.

 

비록 IOP필름을 기반으로 하는 태양전지의 광 에너지 전환효율이 첨단의 수치와 다른 방법에 의한 연구결과에는 못 미치고 있지만, 이 분석물을 통하여 미적인 관점에서 다양한 종류의 태양전지 실현 가능성을 엿볼 수 있다.

 

국내의 태양전지 연구팀은 매우 활발하다. 금오공대팀, 화학연과 포항공대팀, 한국과학기술연구원팀 등이 기존기술의 진보는 물론 차세대 기술의 확립을 위해 노력을 아끼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제적인 유수학회지에 발표되고 있는 연구결과물들의 내용은 최첨단 수준에 이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노구조의 도입을 통한 태양전지의 미적 다양성과 광 전환효율을 동시에 추구하는 연구과제에는 손이 미치지 못하고 있다. 이런 과제에 능동적으로 관여해야 할 것이냐 하는 문제에는 서로 다른 견해가 있을 수 있겠으나 기술의 추이를 벤치마킹해야 한다는 것에는 이론이 있을 수 없다.

 

덧붙인다면, 결론부분에 지적되어 있듯이 기기설계의 최적화와 색상발현과 에너지 전환효율의 균형에 초점을 맞춘 연구과제들이 조직적으로 이루어진다면 미적으로 다양하면서도 효율이 높은 기기에 대한 꿈이 전혀 불가능하지는 않을 것이다. 바로 이 분야에 진출하려고 하는 국내 젊은 과학도들이 있어 그들의 추가적이고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부가된다면 보다 발전적인 기술진보도 기대해 볼 수 있다.

저자
Ke Meng,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6
권(호)
16()
잡지명
Nano Letter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4166~4173
분석자
최*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