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키토산과 키토산 올리고당의 특성과 생물학적 활성 연구

전문가 제언

전문가 제언

 

소개하는 레뷰에서는 키토산의 정제 방법들의 장단점에 대해서 많은 연구 문헌들을 열거하면서 설명하고 있다.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키토산 올리고당chitosan oligosaccharide, COS)을 중심으로 물리화학적 특성, 생물학적 작용 그리고 작용기작을 문헌 중심으로 소개하고 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현재 키토산은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즉 농업 분야에서 종자 처리, 바이오살충제 그리고 와인제조 시의 방부제조 용 등으로 사용된다. 의료 분야에서는 출혈 저지 용 붕대에 성분이 포함되며 비의약품으로 방부제 혹은 항세균제로 쓰이고 있다. 식품에서 지방 흡수 저지를 통한 다이어트 보조용으로 상업 제품들이 나오고 있으나 그 효능이 증명된 것은 아니다.

 

특히 관심을 끄는 부분은 의약품 전달체로서의 역할 부분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현재의 화학 항암제들은 생체에서 암세포에 특이적 농도를 유지하지 않고 있는 것이 가장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COS를 의약품 전달체로서 개발하는 것은 의의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소개하는 레뷰에서 저자들은 키토산의 항미생물 작용에 대해서 세포막에 작용하는 기작에 대해서 소개하고 있다. 키토산을 오랜 기간 동안 방부제로서 많이 사용해 오고 있음은 항생제로서의 작용 가능성을 제시해 주고 있다. 그러나 문제는 생체에 사용하려는 경우, 미생물 세포에 만이 특이적으로 작용하는 기작에 대한 충분한 설명이 있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 레뷰를 소개하면서 우려되는 점은 저자들은 키토산 혹은 COS의 항암 기작을 키토산의 특이적으로 높은 양이온 보유성상으로서 설명하고 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항생제로서든 항암제로서든 작용하기 위해서는 세균이나 암세포에 특이적으로 작용하는 기작에 대한 충분한 설명이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키토산의 항암 작용을 인정받기 위해서는 암세포에 특이적으로 작용하는 기작에 대한 충분한 이론적 근거를 확보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
Pan Zou, XinYang, Jing Wanga, Yongfei Li, Hailong Yu , Yanxin Zhang, Guangyang Liu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6
권(호)
190()
잡지명
Food Chemistry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1174~1181
분석자
신*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