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 잡초의 세계적인 분포
- 전문가 제언
-
○ E. crus-galli, E. colona, 다음으로 강피(E. oryzicola)가 많이 보고되었으며, 전 세계적으로 특히 일본, 한국, 베트남과 같은 동아시아 여러 국가와 미국에서 주로 보고되었고 Cyperus 종은 벼가 재배되는 전 세계의 모든 지역에서 발생되고 있다. 참방동사니와 알방동사니는 전형적인 일년생잡초로서 일반적으로 모든 벼 재배방식에서 발생되고 있다.
○ 잡초 벼와 제초제 저항성은 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다. Echinochloa, Cyperus, Scirpus, Fimbristylis 종들은 효과가 있는 제초제를 오래 동안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논에서 우점하고 있다. 습지 혹은 수생조건에 적응해야하는 벼에서 잡초는 다른 재배작물과 비교하여 생물다양성 범위가 줄어들 것이다. 물 관리는 잡초 스펙트럼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관개를 적게 하는 벼 재배면적이 증가하면 잡초발생은 훨씬 증가하게 될 것이다.
○ 무경운 재배와 건답직파는 Digitaria ciliaris, 왕바랭이, 한련초, Ludwigia octovalis와 같은 잡초의 발아가 양호하며, 제초제 저항성은 가소성이 높은 초종에서 일반적 현상이다. 과거에 화본과 잡초에서 propanil, ACCase 제초제 저항성은 주요 세계적 이슈가 되었다. 오늘날 ALS 저해제에 대한 저항성잡초에 대한 문헌은 가장 자주 보고되었다.
○ 우리나라 논에서 발생하는 잡초는 동일계열 제초제의 연용으로 강피, 물달개비, 벗풀, 올챙이고랭이, 올방개, 너도방동사니, 사마귀풀 등에서 저항성잡초가 발생되어 문제가 되고 있는 실정이지만 합제 개발과 제초제의 체계처리로 잘 방제되고 있는 실정이다.
- 저자
- H. Kraehmer, K. Jabran, H. Mennan and B. S. Chauhan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6
- 권(호)
- 80()
- 잡지명
- Crop Protectio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73~86
- 분석자
- 변*영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