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암 환자에서 자가항원에 대한 체액성 면역반응과 자가항체의 생산

전문가 제언

자가항체(autoantibodies)를 매개로 하는 암과 자가면역 반응과의 연관성은 1950년대에 처음 보고되었다. 그러나 그 후로 자가항체는 강력한 암의 생물표지(biomarker)로 사용되어 왔지만 암과 연관하여 자가항체의 생산과 기능에 대한 자세한 기전은 많이 밝혀지지 않았다. 실제로 암 환자에서 자가항체의 증가나 감소가 암의 진행과 환자의 생존에 어떻게 작용하는 것인지 분명하지 않으며 이는 각각의 암과 자가항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결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양의 면역 회피을 막기 위해 B 세포를 제거하는 것이 치료적으로 효과가 있는지는 아직 논쟁의 여지가 있다. 마우스 모델에서 종양이 자극하는 조절 B 세포(Breg)를 억제함으로써 4T1 유방암 세포의 전이를 막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실제로 CD20 항체를 이용하여 B 세포를 제거하면 암 진행과 전이를 현저히 높이는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생체 내에서 면역 시스템의 조절과 활성화를 목표로 하여 암 치료를 향상시키는 전략으로 Breg 작용을 차단하는 면역 치료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의 박정신 교수 연구팀은 상피성 난소암 환자에서 p53 자가항체 발현과 예후평가와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상피성 난소암으로 진단받고 수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전 혈액을 채취하여 혈청 내 p53 자가 항체를 검사하고 수술 후 병리조직학적 진단 및 세포의 분화도를 검사하였다. 혈청 내 p53 자가 항체의 양성은 환자의 나이가 고령에서 수술 후 항암 화학요법에 대한 반응이 불량한 경우 높게 나타났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의 강운범 등은 유방암 진단용 자가항체마커 및 이의 조합으로 구성된 다중마커 진단 키트를 개발하였다. 정상인에 비하여 유방암 환자의 혈액 내에서 그 양이 특이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여 유방암을 진단할 수 있는 항원을 선택적으로 인식하는 유방암 진단 키트이다. 이 키트는 민감도 및 정확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유방암의 조기 진단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저자
P. Zaenker,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6
권(호)
15()
잡지명
Autoimmunit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477~483
분석자
김*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