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새로운 증폭과 AC측정 방법에 기초한 지카 바이러스의 초감도 탐지법

전문가 제언

전문가 제언

 

지카 바이러스는 브라질에서 소두증과 신경성 질환을 유발하고 수백만의 환자와 감염자를 발생시켜 WHO는 지카 바이러스 유행에 대해서 비상 사태를 선포하였다. 따라서 이 바이러스 감염을 신속하고 높은 감도로서 정확하게 진단하는 것이 당면 과제이다.

 

이 바이러스는 플라비 바이러스의 일종으로서 모기가 매개하는 성상을 갖는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 다시 환자 수가 증가 추세에 있는 일본뇌염과 같은 특성을 갖고 있다. 그러나 지카 바이러스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 단계에 있어서 확실히 알지는 못하지만 임상 증세와 바이러스 증식 양상에서 일본뇌염과 많은 차이를 보이는 듯하다. 즉 일본뇌염에 비하여 보다 많은 수의 바이러스가 더 오랜 기간 동안, 더 많은 종류의 체액에서 존재하는 것으로 연구되고 있다.

 

따라서 여기서 소개하는 논문에서는 저자들이 루프 매개 등온증폭(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LAMP)와 교류(AC) 감수측정기를 결합한 방법을 개발하여 그 효능을 평가하였다. 이들은 바이러스 RNA를 시험하는 대신 합성한 지카 바이러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 DNA를 사용하였다. 따라서 이 실험 방법을 그대로 진단에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며 진단에 적용하기 위한 전 단계로 평가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여기에서 개발한 기술은 여러 면에서 큰 의의를 갖는다. 즉 기존의 RT-PCR 시험 방법과는 다르게 동시에 여러 개의 플라이머(primer)를 사용하고 AC 감수율측정기로써 판독하여 진단시간을 크게 단축시킨 점이다. 이러한 시도는 앞으로 진단 방법의 개발에 획기적인 전환을 가져 올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이 방법에 대한 추시를 통하여 진단제로서의 가치를 심도 높게 평가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를 위하여 진단계뿐만이 아니라 전자 및 기계 전공과의 협동 연구가 요구된다.

 

 

저자
Bo Tiana, ZhenQiua, JingM, Teresa ZardanGomezdelaTorre, Christer Johansson,PeterSvedlindh, MattiasStromberg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6
권(호)
86()
잡지명
Biosensors and Bioelectronics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420~425
분석자
신*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