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의 체험적 방법에 의한 경로설정 기술동향
- 전문가 제언
-
○ 지능형 로봇은 외부환경을 인식하고, 스스로 상황을 판단하여, 자율적으로 동작하는 로봇을 의미한다. 기존의 로봇과 차별화되는 것은 상황판단 기능과 자율동작 기능이 추가 된 것이다. 상황판단 기능은 다시 환경인식 기능과 위치인식 기능으로 나뉘고. 자율동작 기능은 조작제어 기능과 자율이동 기능으로 나눌 수 있다. 미래에 다양한 분야에서의 지능형 로봇 출현으로 인하여 많은 사람들에 새로운 일자리와 복지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 자동항법장치는 지능 형 자동차의 중요한 기능 중 하나이며, 로봇의 내비게이션은 장애물을 피하면서 목표를 향하는 경로를 설정하는 기술로 인식, 위치확인, 판단과 경로 설정, 그리고 동작관리의 4단계로 구성된다. 로봇의 경로설정은 주위환경에 존재하는 장애물을 피하면서 출발위치에서 목적지까지 이동하기 위한 경로를 생성하는 기법이다.
○ 세계 주요국은 로봇산업을 신 시장 창출과 국가경쟁력 향상 원동력으로 인식하고 경쟁적으로 육성 지원 중이다. 미국은 협동로봇(Co-Robot) 중심의 제조공정 혁신, 첨단제조업 강화전략(AMP)을 추진하고 있다. 독일은 로봇 동반자 프로젝트인 로보콤으로 타 산업과의 융합을, 중국은 중국제조 2025로봇 집중육성계획으로 로봇산업 육성을 본격화하고 있다.
○ 국제로봇협회 IFR의 World Ro-botics 2014에 따르면, 2013년 세계 로봇시장은 약 150억 달러규모이며, 제조용 로봇이 90억 달러, 전문서비스 로봇 30억 달러, 개인용서비스 로봇이 20억 달러를 점유하고 있다. 로봇의 시장규모는 최근 4년간 매년 약 10% 정도 성장하고 있으며, 제조업용 로봇시장에서는 자동차산업(40%)과 전자산업(20%)이 주요 수요처를 점하고 있다.
○ 국내 로봇생산 규모는 2014년 기준 2.6조원으로 정부는 2020년까지 로봇시장 수요를 창출해 국내 로봇생산 규모 6조원을 달성한다는 목표를 수립하고 추진하고 있다. 현재는 로봇활용 효과 대비 높은 비용부담으로 성장속도가 예상보다 느린 상황으로 로봇산업클러스터 등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신규 인프라 조성도 추진하며, 협소한 국내시장 중심 사업화 추진보다는 글로벌 시장에서 규모 경제를 실현할 수 있게 제도개선과 인력양성, 국제협력에도 나설 계획이다.
- 저자
- Thi Thoa Mac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16
- 권(호)
- 86()
- 잡지명
- Robotics and autonomous System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13~28
- 분석자
- 진*훈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