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화학기상침투법에 의한 탄소분말 전환과 탄화티탄의 성장
- 전문가 제언
-
○ 세라믹스 기지 복합재료(CMC)는 고온 구조재료로써 급격한 취성파괴를 막을 수 있고, 파괴인성 증가를 극대화 시킬 수 있기 때문에 주목을 받고 있다. 아울러 TiC는 고융점, 고경도, 고탄성율을 가지며 고온에서 우수한 내산화성을 나타내어 원자력, 항공우주 분야 등 공업적으로 그 응용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재료이다.
○ 반응화학기상침투(RCVI: Reactive Chemical Vapor Infiltration) 기술은 전통적인 CVI와 유사하다. MC 카바이드 복합재료를 제조하기 위해 C가 아닌 M 원소(B, Si, Ti 등)만을 함유한 반응가스를 사용하여 섬유 프리폼(fibrous preform)에 침투시켜, 기지 재료를 합성하는 세라믹 공정으로 최근에 관심을 갖게 된 기술이다.
○ 본고는 탄소 펠트에 탄소 분말을 슬러리 함침과 반응 가스로 사염화탄소를 사용한 RCVI을 결합한 혼성공정(hybrid process)으로 C/TiC 복합재료 합성을 시도한 내용이다. 950℃와 1050℃사이에서 3단계 온도 처리를 통하여 TiC 침투 깊이를 300㎛까지 증가시켰다. 이는 C/SiC 시스템에서 보고된 바 있는 침투 깊이 20㎛에 비해 매우 큰 값이다.
○ 비산화물 CMC 특히 C/SiC 또는 SiC/SiC 복합재료가 1970년대 중반에 소개된 이후로 많은 연구가 되고 있고, 실용화되고 있다. 이에 비해서 C/TiC에 대한 실적은 그리 많지 않다. 1967년에 CVD법에 의한 TiC 코팅에 대한 발표가 처음 있었지만, C/TiC에 RCVI의 새로운 방법이 도입된 것은 2010년대에 들어와서 이다. 이 분야에 대한 연구 활동은 프랑스와 일본이 선도하고 있다.
○ 한국은 탄화물 특히 TiC 합성기술은 2000년 이전부터 여러 기관에서 분말 합성과 코팅 등에 관심을 갖고 연구되어 왔으나 C/TiC 복합재료에 대한 활동은 그리 많지 않다. 또한 전통적인 CVI 기술이 1990년대에 C/C 복합재료에 적용된 바 있지만 이후 저조하고, RCVI에 대한 활동은 없다. 탄소-탄화물 복합재료의 발전을 위해서는 새로운 합성 방법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 저자
- O. Ledain, S. Jacques, L. Maille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6
- 권(호)
- 36()
- 잡지명
- Journal of the European ceramic societ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481~488
- 분석자
- 정*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