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애드-혹 네트워크의 라우팅공격에 대한 경험적 연구
- 전문가 제언
-
○ 모바일 애드-혹 네트워크는 인프라가 없고 셀프 구조화 네트워크이며 노드는 무선링크를 통하여 통신을 한다. 동적인 토폴로지이기 때문에 보안은 인프라 네트워크와 비교할 때 치명적인 문제일 수 있다. 모바일 애드-혹 네트워크는 신뢰성측면에서 중앙 집중권한의 결여로 인하여 외부의 다양한 보안 공격에 취약하다. 악의적인 공격을 받기 쉬우며 네트워크 붕괴가 발생하기 전에 공격을 방어하고 탐지할 필요가 있다.
○ 모바일 애드-혹 네트워크의 출현은 세계도처에서 언제 어디에서든지 사용자가 접속하고자 하는 수요증가를 가져온다. 모바일 애드-혹 네트워크의 이동성과 개발 매체의 특성은 서로 다른 유형의 보안위험으로 노출되기 때문에 보안이슈를 설명하기 위해 우선순위를 강조한다. 여기서는 전통적인 유선 네트워크와 비교하여 모바일 애드-혹 네트워크 보안요구의 필요성에 초점을 두고 있다
○ 모바일 애드-혹 네트워크는 1973년부터 미국 DARPA (Defense Advanced Research Projects Agency)에서 군사목적의 통신 시스템 개발을 위해 처음 시작되었다. 그러나 군통신망에서 신속 전개, 제한적이고 선택적인 접근허용, 동적 대역할당과 악조건에서의 최대전송률 및 보안을 위해 고도의 동적이며 진보된 서비스를 요구함으로 망 구축에서부터 프로토콜, 알고리듬 개발, 이질 망간의 연동, 그리고 개발환경 및 도구 설계에 이르기까지의 통합적인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 스마트폰 기기가 대중화 되면서 해킹, 피싱, 악성코드, 스미싱 등 모바일 보안위협 요인들이 동시에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보안 위협을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디바이스, 메모리, 앱 서비스 GPS중심의 네트워크 등에 응용프로그램 코드 및 데이터 암호화 기술 적용, 안티바이러스 기술, 불법 API 및 인터넷 사용방지기술, 위치정보보호기술, 방화벽 등 디바이스 인증기술 등의 강력한 보안기술 개발을 위해서는 산?학?연의 공동연구가 절실히 요구된다.
- 저자
- Srinivas Aluvala, Dr. K. Raja Sekhar, Deepika Vodnala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6
- 권(호)
- 92()
- 잡지명
- Procedia Computer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554~561
- 분석자
- 조*팔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