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P/Ni(OH)2-세라믹 나노입자 첨가에 의한 마그네슘의 무전해 도금기술
- 전문가 제언
-
○ 본 연구에서는 마그네슘기판 위에 표면처리 공정에 크롬을 사용하지 않고 표면성질을 강화하기 위하여 무전해 도금을 이용하여 세라믹 나노입자, 즉 아나타제 상(phase)(25nm), 다이아몬드(4nm), SiC(25~50nm)를 결합시켰으며 Ni-P-Ni(OH)2 자기촉매 코팅층을 얻기 위한 기술을 확립하였다. 향후 국내기술로 이러한 세라믹 나노입자의 선정 및 첨가기술의 확보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지금까지 경금속, 특히 마그네슘의 최신 표면처리 기술로서 전기화학적 도금, 전환도금(conversion coating), 양극산화(anodizing), 가스상(gas phase) 증착 공정, 레이저 표면 합금화, 유기코팅 등이 제시되고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기술 중의 일부는 6가 크롬이 함유되어 있어 환경적인 관점을 고려하여 크롬이 없는 공정의 개발에 활기를 띠고 있다. 본 연구는 세라믹 나노입자를 첨가하여 크롬을 함유하고 있지 않으면서도 에로젼-부식을 크게 향상시켰으므로 국내관련 기업체에서 친환경 무전해 도금기술로 활용가능성이 상당히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 무전해 도금은 가장 적당한 금속도금기술 중에 하나인데, 균일하고, 균열이 발생되지 않고 양호한 접착력을 갖고 있으며, 마그네슘합금은 외부적인 전기회로를 적용하지 않고도 양호한 내마모성과 내부식성을 가진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니켈복합코팅은 더욱 심해지는 부식환경에서 높은 내구력을 지니고 있으며, 또한 더욱 빠른 공정체계가 가능하기 때문에 국내외 기술발전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 국내에서는 무전해 Ni-P 도금 시에 세라믹 나노입자를 첨가하는 대신에 다이아몬드 나노입자를 활용한 실적들이 있다. 2007년 한국산업기술대학의 유미선 등에 의해 내마모 및 내부식 재료로 사용되는 무전해 Ni-P 피막을 대체 할 피막으로서 나노 다이아몬드 복합 무전해 니켈도금의 공정 및 피막특성을 연구하였다. 또한 2006년 백승룡, 조진기 등에 의해 나노미터 크기의 다이아몬드를 이용한 나노 다이아몬드 복합 무전해 Ni-P 도금의 도금조건별 도금피막의 형상, 경도(HV), 마모 및 부식성이 우수한 복합무전해 도금방법에 대하여 한국특허청 10-2006- 0038245로 출원하였다.
- 저자
- J.A. Calderon, J.P. Jimenez, A.A. Zuleta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6
- 권(호)
- 304()
- 잡지명
- Surface and Coatings Tech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167~178
- 분석자
- 유*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