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공급원료에서 바이오디젤 촉매생산 경향
- 전문가 제언
-
○ 본문은 기름을 에스테르 전환반응을 통해 지방산 메틸에스테르로 전환하는 바이오디젤 제조에 사용되는 원료와 촉매를 종류 별로 구별하여 그 특성 등을 비교적 상세하게 기술하였다. 그러나 본문도 지적했지만 열 및 물질전달 제약이 반응보다 더 병목현상이 된다는 점에서 공업적 제법은 화학공학적 단위조작이 더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 에스테르 전환은 1에서 8개의 탄소 원자를 가진 알코올이 필요한데 값이 싸고 쉽게 구할 수 있어 메탄올이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그러나 메탄올은 주로 화석연료로 만들기 때문에 이렇게 제조된 바이오디젤을 순수한 재생가능 연료라 주장할 수 있는지 의문이다.
○ 1세대 바이오연료는 식량을 에너지로 전용되는데 따르는 도덕적인 문제가 있다. 토지와 자원(물, 비료, 살충제 등)을 식량과 경쟁하는 2세대 연료도 이 문제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따라서 도시 고형폐기물, 하수 슬러지, 농축임산 폐기물 등 3세대 자원이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그 중에도 바닷말은 기름 함량이 다른 원료에 비해 100배나 되어 가장 촉망되는 바이오디젤 원료이다. 식물성 기름의 수율은 에이커 당 1000 갤런이 못되는데 조류 기름 수율은 5000 갤런이나 된다고 한다.
○ 바이오디젤 제조 공정 중 초임계공정이 매우 흥미롭다. 이 공정은 수분의 함량이 공정 수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원료의 건조가 필요 없다. 앞에 말한 바닷말도 수확한 그대로 에너지가 다량 소비되는 탈수작업 없이 제조공정에 들어 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우리나라는 포항공과대학의 조병훈, 차형준 등이 미세조류에서 바이오디젤 생산 기술연구 결과에 대해 논문을 발표한바 있고 생명공학연구원의 오희목이 이 주제에 대한 세계적인 연구경향과 전망을 종합하여 발표한 논문 등이 있다. 일반적인 지질에서 바이오디젤 생산에 대해 에너지기술연구소의 이진석이 발표한 “화학촉매에 의한 바이오디젤 생산”이 있다.
- 저자
- Baskar, G., Aiswarya, R.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6
- 권(호)
- 57()
- 잡지명
-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496~504
- 분석자
- 김*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