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가축사료에 음식쓰레기 재활용

전문가 제언

채소 부산물의 사료화는 오랜 옛날부터 이용되어 왔으나, 그 사료가치가 낮아 크게 보급되지 않았다. 근래에 들어 세계 각국에서 많이 연구 및 권장되고 있으며 부산물의 종류뿐만 아니라 저장 및 처리방법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2001년에 식품 Recycle법이 제정되었고, 농촌진흥청과 농협을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으나 초기단계에 있다. 특정한 품목에 대한 사료화의 연구에 그치거나, 채소 부산물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해 함수율을 낮추는 방법으로 보릿짚을 혼합하는 등 아직 본격적 체계가 잡혀져 있지 않은 실정이다. 오히려 음식 부산물의 퇴비화 연구가 많이 진행되는바 이는 사료화에 비해 자원 사용의 효율성면에서 뒤떨어지는 방식이다.

 

일본에서는 채소 부산물 전체 생성량의 약 삼분의 2의 양에 대해, 에코피드(eco-feed)라는 이름으로 사료화가 체계적으로 육성되고 있는데, 2014년에는 재활용 농업부산물의 72%를 사료화하였으며 이는 연간 옥수수 수입량의 10%에 해당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의미는 채소사료화에 관계되는 모든 요소를 성분 및 영양분석과 위생 및 환경의 법적 규정에 맞추어 수집, 수송, 처리, 저장하는 체계를 일정한 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종합적으로 파일럿 테스트하였다는 점에 있다. 이러한 대규모 연구는 EU 단위의 European Life Program에서 자금을 제공하여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영양학적 및 기술적 측면 이외에 체계적인 수행계획을 제시하고 확인하였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공정이 환경에 미치는 요소 또한 점검하였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우리나라도 채소 부산물의 사료화에 대한 종합적이며 체계적인 연구를 실시하여 일본 또는 유럽을 능가하는 체제를 한시바삐 갖추어야 하겠다.

 

저자
D. San Martin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6
권(호)
198()
잡지명
Food Chemistr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68~74
분석자
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