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실제 섬유 폐수에서 오존화, 광분해, 광촉매와 광전기 촉매 방법의 효율 비교

전문가 제언

  최근 독성 및 난분해성 유해·오염물질이 함유된 섬유폐수가 심각한 환경문제로 부각됨에 따라 섬유의 염색 산업에서 염색폐수처리의 효율 향상이 중요해지고 있다. 본 논문은 “실제 섬유폐수에서 오존화, 광분해, 광촉매와 광전기촉매의 효율비교”를 주제로 하여 실제 섬유폐수의 탈색 및 산화방법을 조사하고 그러한 방법들의 효율을 비교한다.


  연구결과에서는 색도제거율이 광전기 촉매가 54.8%, 광촉매가 41.3%, 광분해가 31.8%이었고 직접적인 오존화공정에 의해 평가된 색도제거는 pH 3 하에서 98% 이상이었으며 탈색율은 광분해가 95.0%, 광촉매가 93.6%, 광전기촉매가 93.4%, 직접적인 오존화가 91.5%인 것으로 제시되고 있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4가지 공정은 pH 3에서 전력에너지의 소비가 낮았고, 실제 폐수처리에서 오존화공정이 유망한 대안으로 나타나고 있음이 강조되고 있다.


  재래적인 폐수처리 방법으로 물리적 방법, 생물학적 방법, 화학적 방법이 이용되고 있으나 유해·오염물질의 분해가 어려운 점 등의 제약이 있어 오존화, 광분해, 광촉매와 광전기촉매공정이 섬유폐수의 효과적인 처리에 이용될 수 있는 방법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특히 엄격한 환경규제와 고비용으로 인해 큰 관심을 끌고 있다. 특히 오존, 과산화수소와 같은 산화제와의 결합으로 이러한 방법들은 오염물질의 분해와 탈색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것으로 주장되고 있다.


  고도산화공정들을 이용한 실제 섬유폐수의 처리는 지극히 중요한 필수적인 과제이면서도 엄청난 도전인 것 같다. 그간 국내에서는 섬유폐수의 처리에 대해 물리적, 화학적 및 생물학적 처리 방법이 적용되어 왔으나 난분해성 유해 및 오염물질을 고도로 처리하는 단계에 이르지 못하고 그 분해·제거효율이 미흡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고도산화공정들로서 유해·오염물질의 분해와 탈색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오존화, 광분해, 광촉매와 광전기촉매기술의 개발촉진과 그 적용확대가 필요하다.

저자
Juliano Carvalho Cardoso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6
권(호)
98()
잡지명
Water Research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39~46
분석자
김*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