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치료용 단일클론성 항체와 유도체- 역사적 평가와 미래의 방향

전문가 제언

바이오로직스(Biologics, 생물학적 의약품)인 단일클론 항체(mAbs)와 융합단백질은 의학계에 혁명을 일으키고 있다. 바이오로직은 전통적 의약품과 달리 미생물, 식물 또는 동물세포와 같은 살아있는 생물에서 만들어진다. 대부분의 바이오로직스는 대단히 크고, 복합한 분자이며 혼합물로 되어있다. 바이오로직스의 개발역사와 중요한 작용 메커니즘을 토의한다.

 

1세대 바이오로직스는 개발을 위한 기본적 기술을 수립하는 시기라 할 수 있다. 1973년에 Plasmid를 조립하여 E. coli에 도입하였고 DNA를 발현하는데 E. coli를 이용하였다. 그리고 1975년에, 단일클론 항체를 계속 생산하는 하이브리도마 세포주의 수립이었다. 2세대 바이오로직스는 chimeric antibodyhumanized antibody의 출현인데, 항체의 일부가 동물 또는 사람의 DNA로 치환된 Plasmid를 발현시켜 전혀 새로운 항체를 얻었다.

 

3세대 바이오로직스는 섬유상 박테리오파지를 이용하여 사람 항체를 만드는 Phage display 기술이다. 파지 게놈에 외부유전자를 도입하여 파지의 껍질 단백질과 함께 발현시킨다. 1990년에 McCafferty 등은 사람 면역글로빈의 가변성(V)유전자를 이런 방식으로 발현시켰다. 현재 임상용으로 허가받은 복합되지 않은 사람항체는 17종에 이른다. 다른 방법은 유전자이식 방법인데 완전한 사람 유전자를 만드는데 사용된다. 마우스에서 면역글로빈 유전자를 침묵시키고, 사람의 상대 유전자를 생식계열 수준에서 도입하여 쥣과 면역계를 인간화 한다.

 

단일클론 항체는 여러 가지 작용에 의해 유효한 기능을 나타낸다. 첫째, 세포독성에 의해 비정상 기능을 갖는 세포를 제거한다. 둘째, 세포의 활성화 상호작용을 조절한다. 예컨대, T-세포의 활성을 억제하여 자기면역 질병을 성공적으로 치료한다. 셋째, 세포성장과 증식을 억제하여 암을 치료한다. 넷째, 면역신호전달을 조절한다. 염증성 시토킨과 같은 면역계의 단백질을 표적하고, 다른 바이오로직스는 TNF-α을 표적하여 암을 치료한다.

 

저자
Kyla R. Rodgers, Richard C. Chou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6
권(호)
34()
잡지명
Biotechnology Advances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1149~1158
분석자
서*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