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체추진제 전이 연소속도 모델을 이용한 전열화학발사 모사
- 전문가 제언
-
○ Woodely 등에 의하면, QinetiQ 사는 영국 국방부와 계약하여 ETC 총포 연구를 수행 중이다. 이 연구의 일부로 플라즈마와 고체 추진제간의 상호작용에서 일어나는 EGGR을 연구하고 있다. 이 CPG 개념에서 전기 에너지(EE)는 폴리에틸렌 튜브로 방전된다. 플라즈마는 모세관의 개방 끝에서부터 고체 추진제가 있는 연소실로 방출된다. 이는 CPG 개념을 이용한 155mm ETC 포 발사 모델에 대해 연구한 결과이다.
○ Nanjing Univ. of Sci. and Technol.의 Li HY 등에 의하면 플라즈마와 추진제의 상호작용은 전열화학 발사에서 에너지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라고 언급했다. 점화 에너지 밀도의 최소 임계값은 0.05 kJ/g 이하이고, 주입 전기 에너지 증가와 함께 추진제는 높은 연소속도를 나타내고 있다. 단기(SB) 추진제의 연소속도 증가는 전기 펄스 주입 동안에만 확실하다. 높은 전기 에너지가 연소실로 주입될 때, 플라즈마 주입 후에는 속도 감소 경향이 일어나고 있다고 보고했다.
○ 국방과학연구소(ADD)에서 모세관 플라즈마 주사를 이용한 120mm 포의 전열화학 점화를 연구한 바가 있다. JA2 추진제와 LOVA 추진제를 이용한 subscale 발사로 ETC 점화 연구를 수행해 왔다. 150mm와 기타 포에 대해서도 플라즈마를 이용한 ETC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압력구배(dp/dt)와 전력(electric powder)에 의한 가스 생성 속도 증가(EGGR) 계수의 영향을 포함한 추진제 연소 속도(r)의 반-경험식에 대해서도 지속적으로 연구하여 더욱 개선된 모델로 발전되기를 바란다.
- 저자
- Yan-jie NI, Yong JIN, Gang WAN, Chun-xia YANG, Hai-yuan LI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6
- 권(호)
- 12()
- 잡지명
- Defence tech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81~85
- 분석자
- 박*영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