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식품 중의 자유수에 함유된 삼중수소의 분리 분석

전문가 제언

후쿠시마 제1원자력 발전소 사고로 인하여 식품의 방사성 물질에 의한 오염이 문제로 되어, 식품 중 방사성 세슘의 기준치가 설정되어 유통이 규제되고 있다. 식품의 현행 기준치는 측정 2핵종(¹³⁴Cs), ¹³?Cs)의 외로, ??Sr, ²³?Pu, ²³?Pu, ²⁴?Pu, ²⁴¹Pu, ¹??Ru가 고려되고 있지만, 수소의 방사성 동위 원소인 삼중 수소(이하 ³H)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³H는 우주선에 의해 대기 중에서 자연적으로 생성되거나 원자력 시설에서 오염된 물과 증기로 배출되지만, 식품에 오염 실태가 자세히 조사되지 않은 주로 물의 화학 형 「³H 물」로 존재하는 ³H는 원자력 시설 내에서 실질적인 제거 수단이 없기 때문에 이들은 환경에 방출되어 주변의 동식물에 포함되는 잠재적인 위험성이 있다.

³H는 지금까지 원자력 시설 주변의 환경 모니터링을 목적으로 정해진 「방사능 측정법 시리즈 트리티움 분석법」에 따라 오염된 물과 토양 검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식품에 대한 공정 법은 없다. 현재의 ³H 분석에서는 β선을 측정하는 「액체 신틸레이션법」과 붕괴 생성물인 헬륨을 측정하는 「질량 분석법」의 2종류가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부산시 기장군의 세계 최대 규모의 해수담수화 수돗물 공급 사업이 삼중 수소의 덫에 걸려 휘청거리고 있다. 주민들은 역삼투압 방식이 삼중 수소를 걸러내지 못한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삼중수소의 검출 여부가 확인되지 않은 이상 물을 마실 수 없다고 반발하고 있다. 이에 대해 상수도사업본부는 미국 구제안전위생기관(NSF)에 의뢰한 수질검사 결과가 나오면 오는 5월 중에는 담수화 수돗물 공급을 시작할 계획이다.

한상준(2015) 등은 국내 원전 삼중수소 반사능 배출 및 환경 거동에 대한 분석 및 고찰, 김희근(2011) 등은 삼중수소 피폭방사선량 평가의 경향과 이슈에 대한 고찰, 서울대 의학연구소(2011)의 원전 종사자 및 주변지역 주민 역학 조사 등의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저자
Keisuke Soga, Toshiyuki Kamei, Akiko Hachisuka, Tomoko Nishimaki-Mogami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6
권(호)
57(4)
잡지명
食品衛生學雜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81~88
분석자
정*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