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금형산업의 적층제조기술 동향과 연구사례

전문가 제언

금형은 어떤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 금속이나 수지와 같은 재료를 제품의 형상으로 성형하는데 쓰이는 도구로서 복잡한 형상의 부품을 한번에 성형하거나 단위시간 당 생산량을 늘릴 수 있다. 그러나 금형은 사전 설계해야 하므로 제품제조 이전에 시간과 코스트가 소요된다. 이를 가능한 한 줄이는 것이 중요하며 AM은 바로 이 역할이 가능하기 때문에 금형산업에서 AM장치와 기술수요가 증가할 전망이다.

 

레이저 소결기능만 갖춘 AM장치에서는 요구되는 금형의 치수정밀도가 나오지 않는다. 따라서 별도 공작기계에서 절삭가공에 의해 마무리 하거나, AM장치에 레이저 소결기능과 절삭기능을 갖춰 금형을 제조할 수 있는 복합가공 시스템으로 구성할 필요가 있다. 최근 일본 공작기계 메이커들이 후자인 복합가공기개발 생산의 선두주자로 등장했다.

 

일본공작기계 메이커(DMG mori, Mazak, Matsumura, Sodick사 등)들은 AM의 분말적층조형과 CNC 절삭가공기능을 결합한 복합가공시스템을 개발하여 이미 시판에 돌입했다. 수요자는 주로 금형메이커들이다.

 

적층제조의 과제인 가공정밀도와 표면거칠기의 성능을 향상시켜 금형제작에 적용하고 있는 사례들이 발표되었다. 실제로 Sodik사의 OPM250L은 기존 방식에 비해 금형구성 부품 수 1/20(Front)로 축소, 성형 사이클 21% 단축, 금형제작 리드타임 55% 단축, 금형제작 코스트 61% 절감효과를 보고한 바 있다. (“금속 3D프린터 OPM250L의 특징과 플리스틱성형용 금형에의 적용 사례”, 20188월 분석)

 

일본에서 AM절삭가공 타입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등장은 지난 수년간 산학연의 개발노력에 따른 결과다. 이 시스템은 향후 시제품개발, 고부가가치 제품의 제조, 제품의 수리와 코팅용으로 여러 산업에서 대중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산학연에서도 빠른 기간 내에 금형을 타깃으로 한 <AM절삭가공 복합 하이브리드 가공시스템> 개발에 도전할 것을 촉구한다.

저자
NARAHARA Hiroyuki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16
권(호)
82(7)
잡지명
精密工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634~638
분석자
박*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