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일본의 차세대 산업용 3D 프린터 개발

전문가 제언

이 특집자료는 일본의 차세대 산업용 3D 프린터 기술개발과 관련된 정부지원 프로젝트 “3차원 적층조형기술을 핵으로 한 제조기술 혁명 프로그램의 주요 내용과 R&D 진행상황을 설명한 내용이다. 이 프로젝트 기간은 5(20142018)이며, 일본의 3D 적층조형 관련 주요 대학연구기관과 장치재료 메이커, 이용자들로 구성된 연구조합(TRAFAM)이 주관하여 추진 중이다.

 

이 자료에서는 3D 적층조형에서 미국과 유럽을 선행의 위치로 표현하고 후진적인 일본의 3D 적층조형기술과 산업수준을 세계 최고수준으로 올려 놓는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예컨대, 금속분말 적층조형기술의 경우, 2013년 외국제 3D 프린터에 비해 적층조형속도 10, 적층 정밀도는 5배 달성을 겨냥하고, 2018년 목표연도에 실용화를 달성한다.

 

프로젝트의 R&D내용은 크게 금속 3D 적층조형기술과 주조용 사형 적층조형기술로 구분되며, 각 적층조형용 장치(3D 프린터), 분말재료개발, IoT 또는 디지털과 제조기술의 융합에 대응할 수 있는 장치 및 소프트웨어개발 과제들이 포함되고 있다.

 

금속 3D 적층조형장치의 용융 에너지원으로 전자빔 및 레이저빔 2개의 열원을 동시에 개발하는 2트랙 전략이다. 일본은 세계 톱 수준의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어 개발성과를 자신하는 분위기다. 주조용 사형 적층조형기술의 경우, 지방의 중소 주조산업에 3D 적층조형기술의 접목을 통해 산업경쟁력을 향상기키기 위한 전략으로 추진하는 과제다.

 

국내에서는 201512월 말 한국기계연구원 주관으로 4개의 출연연, 9개 기업, 9개 대학이 참여하는 대규모 연구단을 발족하였다. 3년간 260억 원이 투입되는 이 국가 프로젝트는 DED, PBF, ME 등 적층조형 방식의 관련 장비, 공정, 재료를 개발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의 성과는 향후 우리나라 3D 적층제조 기술수준을 결정하는 중요한 잣대로 작용하게 될 것이다. 연구원들의 분발과 대외경쟁력이 있는 성과를 기대한다.

 

저자
TOHYAMA Tsuyoshi, KIMIJIMA Takahisa, HASHITANI Michiaki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16
권(호)
82(7)
잡지명
精密工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613~618
분석자
박*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